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실
과일
실과
결과
결실
너트
조리개
스페셜
"
열매
"(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침팬지 벌레 잡아 다친 상처에 바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08
껍데기를 깰 돌을 제공했다. 인근 6km 떨어진 보소우 지역 침팬지들은 돌을 이용해 야자
열매
를 까먹는 행동을 보였기 때문에 이들 침팬지도 비슷한 행동을 할 수 있는지 지켜본 것이다. 그러나 침팬지들은 1년 이상 돌과 견과류에 노출됐음에도 돌로 견과류를 깨는 행동을 하지 않았다. 침팬지에게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한국형 백신과 축적의 시간, 그리고 카리코의 오래된 논문
2021.12.30
우리는 비료를 뿌린 농부의 이름을 기억하지 않지만, 그들이 없다면 혁신이라는
열매
는 결코 완성되지 못할 것이다. 카탈린 카리코가 노벨상을 수상한다면 와이스만과 발표한 2005년의 논문이 조명되겠지만, 나는 1985년 아무도 모르게 발표된 이 논문에 더 큰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아무도 읽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
2021.10.26
것이다. 이 개체는 캡2에 대해 1000배나 둔감해졌기 때문에 주변에 있는 이 식물의
열매
를 마음껏 먹었고 생존과 번식에 유리했을 것이다. 그 결과 어느 순간 종 전체에서 유전자가 바뀌어 오늘에 이르렀다. 고추의 캡사이신은 캡2와 구조가 비슷해 1000배까지는 아니지만 여전히 50배 정도 둔감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는 안 돼도 GEO는 된다?
2021.10.14
그런데 GAD2는 잎에서도 발현되는 유전자라 활성이 지나치자 식물 성장이 저해됐다. 반면
열매
에서만 발현되는 GAD3는 이런 부작용이 없었다. 사실 연구자들은 유전자편집 기술을 쓰기 전에 EMS라는 약물을 처리해 임의의 돌연변이를 유발해 GAD3가 고장난 변이체를 찾는 연구를 진행했다. EMS는 DNA를 ... ...
영하 25.6도 혹한의 남극에서 속 빨간 수박, 알 굵은 토마토 수확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제공 한국을 포함해 29개 국가가 남극에서 83개 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이 중 잎채소와
열매
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실내농장을 가진 기지는 미국 기지와 한국의 남극세종과학기지 뿐이다. 실내농장에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인공광으로 활용한다. 빛의 주기와 세기를 농작물의 종류와 생육단계에 따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감자 많이 먹으면 지구가 건강해진다
2021.08.24
심는 걸까. 물론 감자에서도 씨앗을 얻을 수 있다. 꽃이 피고 토마토처럼 생긴
열매
가 익으면 안에 씨앗이 여문다(감자와 토마토는 둘 다 가짓과 식물이다). 그런데 씨앗을 뿌려 나온 식물은 다들 제각각이라 덩이줄기인 감자의 크기나 개수에 편차가 크다. 작물로서는 치명적인 결함이다. 이는 ... ...
[의학게시판] 당뇨병·인슐린 치료인식 개선 캠페인 진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진단 결과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무기력의 원인과 행동지침을 담았다. ■사랑의
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17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선별진료소 등 방역 현장 지원을 위해 4억원 규모의 긴급지원 사업을 펼친다고 밝혔다. 전국 246개 자원봉사센터 등 전국 자원봉사 ... ...
세계 첫 인공수정란 합성, 배아 연구 윤리 규정 바꾸다
과학동아
l
2021.07.03
분열한다. 수정 뒤 약 4일이 지나면 16~32세포기에 이른다. 이때 세포는 마치 뽕나무
열매
(상실)처럼 모이게 된다. 이를 상실배라고 한다. 상실배는 가운데에 빈 공간이 생기면서 아래쪽에 속세포덩이(inner cell mass·내세포집단)를 가지는 배반포를 형성한다. 속세포덩이는 수정 뒤 태아가 되기 전까지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시와 보랏빛
2021.06.08
리포츠’에 발표한 논문에서 그런 물질을 보고했다. 사프란 꽃이나 치자나무
열매
에 들어있는 크로세틴(crocetin)이라는 카로티노이드 분자다. 연구자들은 천연 및 합성 화합물 207가지를 대상으로 근시를 억제하는 유전자로 알려진 Egr-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봤다. 그 결과 크로세틴이 Egr-1의 ... ...
[잠깐과학]콜라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5.08
열매
추출물이 들어갔습니다. 코카나무 잎에는 ‘코카인’이라는 성분이, 콜라나무
열매
에는 카페인이 들어있어 잠을 깨우는 각성 효과가 있습니다. 코카인은 지금은 마약이지만, 당시에는 그냥 넣었던 겁니다. 존 펨버턴은 이 약을 탄산수에 섞어 파는 달콤한 시럽으로 만들었습니다. 재료에서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