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실
과일
실과
결과
결실
너트
조리개
스페셜
"
열매
"(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지성' 과식 메커니즘 찾았다
2024.05.02
풍부하게 함유한 음식물이 거의 없다. 고기에는 지방이 많지만 당(탄수화물)은 거의 없고
열매
와 덩이줄기(또는 뿌리), 꿀에는 당(탄수화물)이 많이 들어있지만 지방은 거의 없다. 물론 요리를 통해 어느 정도 같이 먹을 때도 있지만 오늘날 가공식품이나 패스트푸드처럼 하나의 음식으로 얽혀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나온 신품종이 커피를 위기에서 구해낼 수 있을까. 탱자 유래 잡종인 선드레곤의
열매
와 좁은잎커피나무 원두로 내린 커피의 향기가 과연 얼마나 오리지널과 비슷할지 무척 궁금하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식물원 내 매장을 둘러보다 커피나무 묘목의 짙은 녹색 잎에 끌려 하나 샀다. 잘 키워서
열매
를 봐야겠다. 식물이 빛을 향해 자라는 현상인 굴광성은 파란빛 세기의 차이를 감지해 작동한다. 어두운 곳에 둔 옥수수 자엽초의 오른쪽에서 파란빛을 비추면 빛을 덜 받는 반대쪽의 생장이 빨라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1년생 풀로 싹이 터 잎이 나고 자라다가 추대(bolting)로 불리는 꽃줄기가 올라와 꽃이 피고
열매
(씨앗)를 맺는다. 일단 추대가 올라오면 뿌리는 더이상 자라지 않는다. 그런데 개화 시기를 조절하는 유전자에 변이가 생겨 꽃이 늦게 피자 뿌리가 계속 자라 굵어지면서 사람들의 주의를 끈 것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우린의 재발견
2023.06.14
고양이가 타우린 합성 능력을 잃어버린 것도 먹이 섭취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영장류가
열매
와 나뭇잎을 주식으로 삼으면서 비타민C 합성 유전자가 고장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동물에서는 타우린이 중요한 생체 분자임에도 식물에서는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는 것 같다. 삼투압 조절은 세포벽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방울토마토 먹고 배탈 난 과학적 이유
2023.04.05
토마틴을 에스큘레오시드 A로 바꾸는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돼
열매
에 토마틴이 축적된 것으로 보인다. 아마 단맛도 꽤 있어 토마틴의 쓴맛이 가려져 아이들이 거부감 없이 먹은 게 아닐까. 신품종을 개발할 때는 다양한 조건에서 재배해 결과물을 평가해야 하는데, 저온 스트레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선입관이 깨졌다. 특히 호두까기 인간이라는 별칭이 붙은 보이세이는 껍질이 단단한
열매
를 즐겨 먹었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공초점 현미경으로 치아 표면에 남은 마모 흔적을 분석 결과 치아 표면 법랑질에서 깨진 곳이 거의 없었고 대신 미세하게 긁힌 흔적이 많았다. 풀의 씨앗이나 덩이뿌리처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 탄생 200주년
2022.07.26
완두콩은 덜 익었을 때는 녹색이지만(우리가 먹는 상태) 여물면 노란색이 된다.
열매
가 여물면 더이상 광합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엽록소가 파괴된 결과다. 그런데 열성 변이형은 콩이 여물어도 여전히 녹색이다. 분석 결과 변이형은 엽록소가 파괴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SGR 유전자의 네 번째 ... ...
[르포]멸종위기 토종 '산개나리', 100년전 처음 발견된 곳에서 '10년째 복원 중'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화사하게 꽃잎을 펼친 산개나리 군락이 한가득 들어왔다. 자생지에선 보기 힘든
열매
를 맺은 개체도 눈에 띄고 언뜻 봐도 생육 상태가 좋아 보였다. 복원 사업팀은 2012년 북한산 4개 지역에 각각 40그루씩 총 160그루를 심었다. 이중 71그루가 현재까지 살아남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날 현장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인류는 밀 부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2.04.05
때문에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이런 작물은 노화가 앞당겨져 잎이 빨리 시들고 따라서
열매
나 씨에 영양분을 충분히 저장하지 못한다. 따라서 MLO는 식물의 성장과 노화에 관련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MLO 유전자가 고장난 변이체 밀 가운데 하나(Tamlo-R32로 명명)가 이런 부작용을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