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실
진정
사실
순정
순수
본인
참
스페셜
"
진짜
"(으)로 총 368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키고 싶은 자아상 무너질까 두렵다면?
2024.12.21
의향이 낮았고 공격성이나 복수심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예를 들어 최근 '
진짜
남자'처럼 느꼈던 상황에 대해 떠올려보는 등 자신의 남성성을 재확인해서 남성성에 대한 위협을 비교적 덜 느낀 남성들은 이러한 모습을 비교적 ‘덜’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스로 또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내년 3월 도입 AI디지털교과서, 미완성 기술에 교육 맡기나
2024.11.20
추진한 선도학교와 선도교사 연수도 수박 겉핥기식이었다는 교사들의 평가도 있다.
진짜
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가 준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학생들에게 지급하는 디지털 기기의 관리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국회 교육위의 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전국 17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혼자 이겨내는 고난이 있을까
2024.11.16
하면 방이 지저분하다는 문제는 표면에 드러난 증상일 뿐이고 그 이면에 훨씬 큰
진짜
문제들이 도사리고 있는 셈이다. 최근 노숙인들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그 인식들이 도움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접했다. 여기에서도 노숙인들이 그 상황에 처하게 된 이유가 단순히 '게으름' 같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은 '주관적'…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이유
2024.10.12
따름이다. 그렇지만 한 가지 깊게 공감할 수 있었던 부분은 사람은 마음이 죽을 때
진짜
로 죽는다는 점이다. 살면서 가장 힘들었던 경험들을 떠올려 보면 몸이 힘든 것 보다도 마음이 지옥일 때였다. 주변 사람들을 믿지 못해서 내밀어진 손을 잡지 못하고 내가 나의 존엄성을 의심하고 내 삶이 가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에도 통하는 플라시보 효과
2024.09.04
진짜
웃음과 비슷해 식별력이 떨어지는 뇌간이나 소뇌 같은 뇌의 원초적인 부위가
진짜
로 웃을 때처럼 해석해 생리 반응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형식보다 내용이 중요하다지만 많은 사람이 형식을 차리는 데 돈과 시간을 들이고 있다. 지금까지 필자는 이런 모습을 한심하게 여겼는데 어쩌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불필요한 관심사 '가지치기'
2024.08.03
뿐인지 (자기계발 트렌드) 따져볼 필요가 있다. 특히 많은 에너지를 쏟고 있지만 정작
진짜
로 중요한 일에 에너지를 쏟고 있는 것 같지 않다면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밤에 잠이라도 편하게 자도록 관심사에 있어 가지치기를 할 필요가 있다. 단순한 정보나 관심사 뿐 아니라 목표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우주 먼지'인 동시에 하나의 '우주'
2024.07.20
를 외치는 나를 보곤 한다. 내가 나를 객체로 취급하기보다 주체로 알고 그렇게 살아야
진짜
내가 될 수 있다는 게 아닐까. 비대한 자아에 대비해서 '작은 자아'에 대한 연구들도 있고 자기 자신을 1인칭으로 바라보느냐 또는 3인칭으로 바라보느냐에 관한 연구들도 있지만 고체이기보다 액체 같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라고 믿었던 모든 것, '착각'일 수도
2024.07.13
만드는 다양한 영향력이 넘치는 세상을 살아가고 있기에 더욱더 내가 생각하는 내가
진짜
나인지 혹은 그렇게 착각하고 그게 옳은 거라고 생각하게 된 것은 아닌지 따져 봐야 할 것 같다. 내가 나라고 생각했던 모든 것들이 다 착각일지도 모른다. Vonasch, A. J., & Tookey, B. A. (2024). Self-serving bias in moral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다름'을 포용해야 행복하다
2024.07.06
있다. 한 번도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생활고를 겪는 청년들이 많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진짜
인지 의구심이 든다고 했다. 또 모두가 부러워할 만한 학력의 소유자이지만 자신과 비슷하게 학력이 높은 사람들과 주로 어울리다 보니 자신의 이력이 한참 초라하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었다. "세상에 빈곤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인류 화석의 아이콘 '루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구조를 갖고 있었다. 직립이 먼저 일어나며 인류가 진화했다는 증거다. 루시는 별명으로
진짜
학명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로 아파르 지역에서 발견된 남방 유인원이라는 뜻이다. 최초의 인류라는 지위는 20년 정도만 유효했다. 루시 이후 440만년 전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 580~52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