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테나
더듬이
공중
안테너
말더듬이
뿔
촉수
스페셜
"
촉각
"(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은 왜 향기 분자를 만들까
2022.04.19
싶다. 코로나를 겪으며 관심이 가는 대상도 많이 바뀌었다. 예를 들어 감각의 경우
촉각
은 잊혔지만(이제 악수도 어색하다) 후각은 뜨고 있다. 코로나19의 대표적인 증상이 후각 상실이라는 게 알려지면서 촉발된 관심은 마스크 착용으로 깨닫게 된 입 냄새에 대한 걱정으로 이어졌고 최근에는 ... ...
[과학게시판] ‘탄소중립과 원자력’ 과총 이슈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달 분화구 느껴보기: 아폴로 50주년 기념판’, ‘화성 탐사 프로그램’ 등 3종의
촉각
도서와 해설집 등 총 6권으로 구성된다. 제작된 도서는 3월 중 시각장애인 특수학교와 점자도서관, 일반 초중학교 등에 무상 배포할 예정이다 ... ...
마비 환자 걷게 할 척수 임플란트 개발…동물 실험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2.07
7일 밝혔다. 척수는 몸을 지탱하는 등뼈인 척추 속에 들어있는 신경줄기다. 몸의
촉각
이나 압각, 온도감각, 통증 감각 등의 감각 신호를 뇌로 전달하고, 뇌 신호를 몸으로 전달한다. 이 때문에 사고나 질병으로 손상을 입으면 신경이 잘 전달되지 않아 팔이나 다리 등 몸에 마비 증상이 발생한다. ... ...
로봇개, 사람보다 빨리 산 올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4
다리에서 지면과 접촉할 때 나오는 신호와 시각 인식을 결합하는 제어 기술을 개발했다.
촉각
을 활용해 지형의 경사나 굳기 등 안전도를 확인하면서 시각 정보와 동시에 활용하는 신경망을 로봇에 추가한 것이다. 이후 연구팀은 가상의 훈련 캠프를 차리고 애니멀을 수많은 장애물과 위험 상황에 ... ...
[현장!CES2022]쇼핑부터 게임·교육훈련까지…메타버스 콘텐츠 다 모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06
마련했다. 곽기욱 비햅틱스 대표이사는 “VR의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 시각뿐만 아니라
촉각
에 집중했다”고 소개했다. 국내 VR 기업 '비헵틱스'의 부스에서는 VR과 함께 촉감을 느낄 수 있는 장치들을 선보였다. 사용자가 가상환경 또는 다른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의 실감성을 높일 수 ... ...
백신 안통하는 오미크론 변이...새해 코로나 바이러스 진화 방향은
동아사이언스
l
2021.12.24
자리잡고 있다. 과학자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다음 번에는 어떤 방향으로 진화할지
촉각
을 곤두세우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가 발견된 초기만 해도 전파력이 기존 변이보다 크지만 독성이 낮아 감염돼도 중증으로 진행될 확률이 낮을 것으로 평가됐다. 중증도가 점점 낮아지는 방향으로 ... ...
오미크론 변이 확산 각국
촉각
…과학자들 백신 작동·중증 환자 유발 여부에 ‘
촉각
’
동아사이언스
l
2021.11.29
방역에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중증 환자를 오미크론이 얼마나 유발하는지에 대해
촉각
을 곤두세우고 있다. 2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즈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오미크론은 기존 델타 변이바이러스(인도 변이)보다 전파력이 더 세고 백신의 면역 반응을 회피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알려졌다. ... ...
코로나19 위중증 500명대·사망자 8일만에 다시 30명…신규확진 3120명
동아사이언스
l
2021.11.21
벗어나지는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위중증 환자가 예상보다 다소 빠르게 늘면서
촉각
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1일 0시까지 코로나19 확진자가 전날보다 3120명이 늘어 누적 확진자 수는 41만 5425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달 1일 단계적 일상회복안이 적용된 이후 신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
2021.10.26
캡사이신이 TRPV1을 건드린 결과이니 말이 된다. 2021년 노벨생리의학상은 온도수용체와
촉각
수용체를 발견한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노벨위원회 제공 ○ 고추가 새를 선택한 것 그런데 고추는 왜 캡사이신을 만들어 우리의 온도(통증)수용체를 자극할까. 이 질문에 대해 진화론자들은 그럴듯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노벨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
2021.10.13
수용체가 뇌에 전달해주는 신호는 사실 42도 이상의 뜨거움을 느끼도록 해주는
촉각
신호였다. 매운맛은 혀의 미뢰(taste bud)가 아니라 구강세포를 통해서 느끼는 통증이라는 뜻이다. 파타푸티언 교수는 뾰족한 바늘이 가하는 기계적인 힘이 활성화하는 이온 채널과 그 유전자 후보를 찾아냈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