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테나
더듬이
공중
안테너
말더듬이
뿔
촉수
스페셜
"
촉각
"(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2021노벨상]벽 허문 지구과학·박해 피한 이민자 수상자들…올해도 드라마는 있었다
2021.10.08
발견한 성과가 받은 데 이어 이번엔
촉각
연구가 선정됐다"며 "오감 중 시각과 후각,
촉각
관련 연구가 순서대로 노벨상을 받았고 청각과 미각이 남았다"고 설명했다. ● 지구과학도 노벨물리학상 진입 2021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마나베 슈쿠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BBVA재단 제공 올해 ... ...
올해 생리의학상 수상자 파타푸티언 교수 "익숙한 것에서도 놀라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05
'다루기 어려운 주제'였다"며 "세포가 압력을 탐지하도록 하는 수용체를 찾은 것은
촉각
관련 연구에 있어 아주 새로운 길이 열린 것과 같았다. 이전에는 전혀 예상치 못한 경로였다"고 말했다. 파타푸티언 교수와 함께 공동 수상한 줄리어스 교수는 고추의 매운 맛 성분인 캡사이신이 어떤 과정을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촉각
수용체 발견, 만성통증 치료 시대 올까
2021.10.05
어떻게 응용으로 나아가느냐다. 가장 가깝게는 역시 의약 분야가 되리라 전망한다.
촉각
의 극단적인 형태는 통각이며, TRPV1과 같이 우리 몸에 해를 입힐 정도의 과도한 자극을 감지하는 수용체는 통각수용체로 따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들 통각수용체들은 단순히 온도의 높고 낮음만 감지하는 ... ...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온도와 압력 느끼는 인간의 체감 비밀 밝힌 과학자들 수상(종합)
2021.10.04
촉각
과 통각의 기전을 최초로 분자 수준에서 밝혀냈다"며 "두 연구팀이 경쟁적으로
촉각
과 통각 분야를 연구를 하며 수많은 수용체 분자들을 발굴한 점을 인정받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광국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TRPV1 수용체는 척추의 신경말단 부분인 ... ...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들, 경쟁 통해
촉각
·통각 연구 더 발전시켜"
동아사이언스
l
2021.10.04
"시각에 관여하는 연구가 가장 먼저 노벨상을 받고 이후 후각 관련 연구가, 이번엔
촉각
과 관련된 연구가 노벨상을 받았다"며 "청각과 미각만 이제 남은 상태"라고 말했다. 한희철 고려대 의대 교수는 두 연구자의 기초연구가 통증을 억제하는 약제 개발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한 교수는 ... ...
'인간은 어떻게 세상을 인식하는가'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21.10.04
지 이해할 수 있었다. TRP는 온도를 감지하는 능력의 핵심으로 꼽히고 있다. 피에조2는
촉각
과 함께 신체 부위 위치와 움직임을 느끼는 능력을 부여한다. 온도와 기계적 자극에 의존하는 수많은 생리 기능에도 기여한다. 이러한 지식은 수많은 질병에 대한 치료볍을 개발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 ...
노벨생리의학상에 온도와 감각 느끼는 수용체 발견한 생리학자 2명(2보)
2021.10.04
위원회는 "올해 의학상은 더위와 추위,
촉각
을 감지하는 인간의 능력을 만드는 온도와
촉각
수용체를 발견한 결정적인 공헌을 한 2명의 과학자에게 수여한다"며 "일상 생활에서 여기는 이러한 감각을 당연하게 여기지만 온도와 압력을 인지할 수 있는 신경 자극이 어떻게 시작되는제지에 관한 ... ...
코로나19 신규 확진 2025명…1주일만에 다시 2000명대로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인구가 집중된 수도권의 지역발생 확진자 비중이 다시 70%대로 올라서면서 방역당국은
촉각
을 세우고 있다. 전파력이 더 강한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가 전국 곳곳으로 퍼지고 있는 데다 대규모 이동이 예상되는 추석 연휴도 앞두고 있어 추가 확산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이달 18~2 ... ...
코로나19 유행이 영유아 지능 발달 방해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만지고 빠는 등 다양한 체험이 중요하지만 최근에는 코로나19 때문에 영유아들이 시각,
촉각
적 체험을 하는 데 제한이 많다"고 말했다. 데오니 교수팀은 가계 소득에 따른 영유아 인지 능력 발달도 비교했다. 그 결과 고소득 가정보다 저소득 가정에서 자라는 영유아들의 인지 발달이 상대적으로 ... ...
람다 변이는 '제2의 델타 변이'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8.19
9) 재확산의 주범으로 꼽히는 델타 변이에 이어 최근 각국이 람다 변이(C.37) 전파에
촉각
을 곤두세우고 있다. 인도에서 처음 보고된 뒤 전 세계로 퍼지며 유행을 주도한 델타 변이와 전파 양상이 비슷해 람다 변이가 ‘제2의 델타 변이’가 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 8월 페루에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