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
전문대학
대학교
유니버시티
단과대학
college
스페셜
"
칼리지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읽는 세상] 뉴턴, 페스트 유행 기간 '만유인력의 법칙' 떠올렸다
2022.10.11
알아낸 보일(Robert Boyle, 1627-1691), 성직자 윌킨스(John Wilkins, 1614-1672) 등의 주도로 그레샴
칼리지
에서 첫 모임을 가진 후 훅(Robert Hooke, 1635-1703)과 뉴턴 등도 합류를 했다. 1663년에는 찰스2세 왕이 모임에 참석하기 시작하면서 4월 23일에 왕을 설립자로 하고 왕립학회로 이름을 바꾸었다. 뉴턴이 새로운 ... ...
[표지로 읽는 과학] 날아다니며 건축물 짓는 드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4
이용한 3차원(3D) 건축’이라는 문구도 작게 달려있다. 미르코 코바치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ICL) 항공로봇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비행하며 건축물을 짓는 3D 프린팅 드론을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21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최근 건설 현장에 로봇을 도입하려는 시도들이 늘고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딥러닝으로 사계절 북극 해빙을 관측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7
북극의 기후변화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미셸 사마도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지구과학과 교수는 "기후모델에 새로운 해빙 두께 데이터를 적용해 미래에 기후변화를 장기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구글 딥마인드 AI, 거의 모든 단백질 구조를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30
연구팀이 말라리아 백신 개발을 위해 알파폴드의 데이터베이스를 요청했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컴퓨터생물학과 연구팀도 알파폴드를 이용해 플라스틱을 먹어치우는 새로운 효소를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신약 개발을 중심으로 알파폴드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 ...
코로나 진화 패턴이 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2
아닌 전혀 새로운 변이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있다. 톰 피콕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교수는 “알파나 델타 같은 이전 변이 중 하나가 감염이 지속되는 만성 감염을 거친 뒤 진화해 다시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며 “만성 감염에 대한 연구는 바이러스의 변이 방향을 예측할 수 있게 ... ...
[2022 필즈상]제임스 메이나드 "소수는 모든 수의 원자이다"
수학동아
l
2022.07.05
졸업 △2009년 케임브리지대 퀸즈
칼리지
수학 석사 졸업 △2013년 옥스퍼드대 발리올
칼리지
수학 박사 졸업 △2013년 쌍둥이 소수 추측 부분 해결 △2013~2014년 몬트리올대 박사 후 연구원 △2014년 사스트라 라마누잔 상 수상 △2014년 에르되시의 오랜 추측 해결 △2015년 화이트헤드 상 수상 △2016년 ... ...
“원숭이두창 2018년부터 조용히 퍼지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수 있기 때문에 변이량만으로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는 것이다. 마이클 말림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 교수는 “변이의 영향으로 원숭이두창바이러스가 약해질 가능성이 더 높다”고 말했다. 문제는 말림 교수의 예측대로 바이러스가 진화했는지 확인할 길이 당장 없다는 점이다. 2018년 이전 ... ...
전세계 강타한 때이른 ‘폭염’...3월 남북극 이상고온이 '전조'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폭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30배 늘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프리데리케 오토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ICL) 그랜섬연구소 교수는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인간의 활동으로 유럽에서만 폭염 빈도가 100배 이상 증가했다”며 “전세계적으로 폭염 빈도와 강도, 지속시간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 ...
"오미크론 변이, 장기후유증 위험 낮지만 앓는 사람 델타보다 훨씬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향후 장기 후유증 환자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클레어 스티브스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 쌍둥이연구및유전역학부 교수는 “오미크론 변이는 코로나19 장기 후유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델타 변이보다는 낮지만 그럼에도 (영국에서는) 23명 중 1명이 장기 후유증을 겪는다”며 “장기 후유증 ... ...
코로나19 변이 계속 출현하는데 새 백신 빨리 안 나오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6.02
임상 데이터를 공개하며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페니 워드 영국 런던킹스
칼리지
교수는 영국의학저널을 통해 “백신 제조업체들이 어떤 균주를 포함시켜야 할지에 대해 아직 합의를 얻지 못했다”며 “계속 새로운 변이가 빠르게 출현하면서 아직 코로나19에 대해 알아가는 중이기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