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락
쇠퇴
퇴보
저하
퇴폐
저락
악화
스페셜
"
퇴화
"(으)로 총 3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다윈의 항해
2020.10.01
하고 덜 사용하기도 한다. 그 결과 많이 사용한 기관은 발달하고 사용하지 않는 기관은
퇴화
한다. 한 개체에서 일어난 이런 변이는 후대에 전해진다. 이를 용불용설이라고 한다. 기린의 목이 긴 이유를 용불용설은 아주 쉽게 설명한다. 즉, 고대의 사슴이 더 높은 가지의 나뭇잎을 먹기 위해 목을 늘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으로 살빼는 시대 오나
2020.09.22
전담 기관인 눈이 생겨났고 눈 밖의 기관에 있는 빛수용체는 할 일이 없어져 점차
퇴화
했다. 그 결과 포유류와 조류에서는 완전히 기능을 상실했다고 생각했는데 2010년 조류의 뇌에서 빛수용체가 작동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새의 두개골을 뚫고 들어가는 빛의 양이 미미할 것임을 생각하면 ... ...
[프리미엄리포트]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18
UC샌디에이고) 공동연구팀은 태아의 소뇌증을 유발하는 지카바이러스로 뇌종양을
퇴화
시킨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실험의학 저널’에 발표했다. 또 2018년 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제약회사인 존슨앤드존스과 머크는 각각 10억 달러(당시 약 1조1053억 원)와 3억9400만 달러(당시 약 4354억 원)를 들여 ... ...
[프리미엄리포트] 바이러스는 어떻게 탄생했나
과학동아
l
2020.07.04
떨어져 나온 일부라고 하기에는 너무 크다. 거대 바이러스의 기원을 설명하는 데는 세포
퇴화
설이 오히려 더 적합하다. 바이러스가 애초에 세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세포와 함께, 또는 세포보다 먼저 지구상에 출현했다는 가설도 있다. 바로 ‘독립기원설’이다. 현재 분류 체계상 생물은 크게 ... ...
[뉴스페이스&뉴디펜스] 서비스업과 제조업 지형 바꿀 우주 모빌리티
2020.04.06
우주비행사에게 입히는 방안을 제안한 일이 있다. 국제우주정거장(ISS)의 우주인들은 근육
퇴화
방지를 위해 매일 2시간씩 운동을 해야 한다. 우주분야가 아닌 기업들이 내놓은 이런 다양한 아이디어들은 해외에선 응원을 받고 훌륭한 시도라는 평가를 받는다. 우주 모빌리티 시대에 어떤 새로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여성이 더 오래 사는 이유
2020.03.10
발현량이 두 배라면 문제가 생기지 않을 수 없다. 포유류는 성염색체 진화(Y염색체
퇴화
) 과정에서 놀라운 장치를 개발해 이 딜레마를 해결했다. 바로 X염색체불활성화다. 암컷의 경우 X염색체 두 개 가운데 하나는 불활성화돼 작동을 하지 않는 것. 따라서 X염색체가 쌍으로 있어도 유전자 발현량은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
2020.01.04
흔적 기관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충수돌기의 기능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퇴화
가 아니라 오히려 진화했다는 주장이 있다. 세균총을 담아두는 저장소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충수염을 앓는다면 어쩔 수 없지만, 그렇지 않다면 무조건 잘라낼 이유가 없다. 우리 몸에는 100조 마리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못한 건 이를 관장하는 서비골기관의 존재 여부가 여전히 논란 중이고 설사 있더라도
퇴화
한 흔적 기관으로 기능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각 기능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기관이라고 여겨졌던 후각망울이 없는 여성들도 아무 문제 없이 냄새를 맡을 수 있다는 발견은 ... ...
[인류와 질병] 치매의 수수께끼
2019.10.06
인류 역사와 같이해온 역사가 깊은 병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노화에 따른 정신적
퇴화
는 피할 수 없는 일이며, 정신은 점점 열등해지므로 노인은 책임지는 일을 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동로마 제국의 황제 중 최소 일곱 명이 치매를 앓은 것으로 추정된다. 셰익스피어의 비극, 리어왕에 등장하는 ... ...
장내미생물의 또 다른 능력…알츠하이머 치매 늦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장내 미생물 군집이 크게 변한다. 점차 장 점막 면역기능이 약해지고 장 조직 세포가
퇴화
하면서 장내 독소가 혈류로 유입되거나 면증반응을 유발했다. 결국 알츠하이머 치매 증상이 심각해졌다. 이 쥐에게 선강한 쥐의 장내 미생물을 이식했더니, 염증반응이 나아졌을 뿐 아니라 알츠하이머 치매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