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정
경망
요망
스페셜
"
호들갑
"(으)로 총 3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을 태풍은 정말 더 잦고 강력해졌을까
2022.09.14
한다는 자연법칙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힌남노가 9월에 북위 28.5도에서 발생했다고
호들갑
을 떨 이유가 없다. 태풍의 발생과 진행에서는 어떠한 예외적 놀라움도 허용되기 때문이다. 적도 부근의 바다에 태양의 복사 에너지가 지나치게 많이 쏟아지면 언제든지, 어느 곳에서나 태풍이 발생할 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스타벅스 캐리백 논란...엄습한 발암물질 공포
2022.08.03
분명하게 확인되지 않은 ‘2A’군과 ‘2B군’으로 분류된 물질을 ‘발암물질’이라고
호들갑
을 떨 이유가 없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방어 메커니즘이 훨씬 취약한 박테리아에서 확인한 유전독성을 근거로 인체 발암성을 주장하는 식약처의 현실은 몹시 안타까운 것이다. IARC의 분류는 발암성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부정적 정서는 주의를 빼앗는데 능숙하다
2022.06.25
적당히 활용하지 못할 때가 많다. 감정이
호들갑
을 떨면서 "너 큰일났어"라고 했을 때, 부정적 정서는 원래 시끄럽게 알람을 울리므로 “그래? 다행히 그렇게까지 큰 문제는 아닌 거 같아. 이렇게 저렇게하면 되겠다" 라는 태도로 진정시킬 필요가 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좌절과 실망이 습관인 사람에게
2021.07.10
비난하고, 나아가 코로나19와 나쁜 운을 준 우주를 비난하며 내 삶의 모든 것이 문제인양
호들갑
을 떨 이유는 어디에도 없었다. 지금 당장 직장이나 집에서 추방을 당해서 갈 곳이 없거나 너는 쓸모없는 인간이니 영원히 동굴에 갇혀서 마늘이랑 쑥이나 먹으면서 살라는 처분을 받은 것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왜 힘들까?
2021.06.26
부합할 만큼 중대한 일은 별로 떠오르지 않았다. 어째선지 필자는 필요 이상으로
호들갑
을 떨고 있었다. 한 명에게 안 좋은 소리를 들었을 뿐인데, 또 그게 내 탓이 아닐 수도 있는데 마치 온 세상 사람들이 나를 미워하는 것처럼 슬퍼한다. 친구나 동료가 성과가 좋지 않았다고 해서 ‘네 인생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어설픈 전문가들의 억지에 흔들리는 사회
2021.05.26
후쿠시마 원전에서 오염수를 방류하면 재앙적인 일이 벌어질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호들갑
스러운 발언이 국민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방사성 삼중수소가 바다 밑으로 ‘침전’되어서 우리가 즐겨먹는 해조류·갑각류·광어·넙치가 오염된다는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서균렬 교수의 발언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과로를 통제하지 못했을 때
2021.04.10
계속 E(비었음)라고 뜨거나 또는 바늘이 F(가득참)에서 조금만 내려가도 큰일났다며
호들갑
을 떤다. 아마도 이렇게 상당수의 불행이 그렇게 잘못 설정된 계기판 또는 계기판을 오독하는 데에서 비롯될 거라는 얘기였다. 일 중독과 과로, 완벽주의 등 모든 선을 넘는 노력들 또한 여기에 해당될 것이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실제 통증과 불필요한 괴로움을 구분하라
2021.03.27
직전이었다. 언젠가 한 번은 두통이 시작되기도 전에 ‘시작될 것 같은 느낌’만으로
호들갑
을 떤 나머지 패닉 상태에 빠져 숨이 막힐 것 같았던 적도 있었다. 어디까지가 내가 감당할 ‘실제’ 통증이고 어디서부터가 겪지 않아도 되는 불필요한 괴로움인지 어느정도 구분하고 나니 신기하게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 자신을 돌본다는 것
2021.02.20
어떡해, 인생 끝났네' 같은 사건의 중요성을 축소하거나 친구를 비난하거나 또는
호들갑
을 떨며 일의 영향을 과대해석하는 행동을 하지는 않을 것이다. 만약 자신이 힘들 때 이들 중 하나라도 하는 친구가 있다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과의 비교가 내 삶을 괴롭힐 때 ‘선 긋기’
2021.01.23
내 삶이 더 나아지나? 내 삶에 아무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면 이 정보에 대해
호들갑
을 떨 필요가 없는 것이다. 물론 비교를 통해 동기부여를 한다든지 긍정적인 자극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비교가 내 삶에 있어 유용한 지점을 넘어 불행만 가져다주고 있다면, 비교의 효용은 더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