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4,385건 검색되었습니다.
손목시계 크기의 화상전화기 실현
과학동아
l
200008
승리하기 위해서 반도체칩 연구에 못지 않게 떠오르는 중요한 분야다. 바로 KAIST재료
공학
과 마이크로전자패키징 연구실의 중점적인 연구 과제다.패키지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 가장 쉽게 떠올릴 수 있는 방법은 아예 반도체칩끼리 직접 연결시키는 일이다.실제로 마이크로전자패키징연구실에서 ... ...
1. 달러덩어리 가속기 왜 필요했나
과학동아
l
200008
충돌가속기,전자-양성자 충돌가속기 등이 있다.1.선형가속기1928년 노르웨이 출신의
공학
자인 위데로에가 독일에서 개발한 가속기로 현재의 선형가속기와 똑같은 형태다. 하전된 입자는 가속되는 동안 원운동 때문에 에너지를 잃는다. 그리고 이같은 에너지 손실은 양성자에 비해 전자에서 ... ...
3. 고에너지가속기가 해결하는 20세기 숙제
과학동아
l
200008
항상 최첨단의 기술과 데이터 해석능력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전자
공학
과 재료
공학
, 그리고 컴퓨터 산업도 동시에 발전된다. 이처럼 입자물리 실험은 순수학문으로서만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산업의 도약적인 발전을 수반할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다.우리나라의 경우 ... ...
뱀처럼 유연한 가스관 검사 로봇
과학동아
l
200008
분야의 전문가와 내과전문의로 다양하게 이뤄져있다.기계
공학
(mechanical engineering)과 전기
공학
(electronic engineering)을 합성한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라는 연구실명이 최혁렬 교수가 수행하는 이런 다양한 연구가 폭넓은 관련 기술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준다.1995년에 세 ...
Ⅲ. 지구 대기권 밖으로 나가자
과학동아
l
200008
우주망원경에 대한 착상은 8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이미 1923년에 독일 로켓
공학
자 헤르만 오베르트는 지상 관측시설과 '위성탑재망원경'을 비교하면서 새로운 관측방법의 필요성에 대해 역설했다.그런가 하면 1950년대에는 SF소설에 월면천문대가등장했다.하지만 인공위성 개발에 대한 열기가 ... ...
2. 가속기가 열어온 입자물리학 50년
과학동아
l
200008
매우 어려웠다. 이 문제를
공학
자인 반데미르가 성공적으로 해결한다. 이 공로로 그는
공학
자임에도 불구하고 루비아교수와 같이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다. 한편 강력을 매개하는 글루온은 전자와 양전자의 충돌실험에서 제트 생성 현상을 통해 그 존재가 입증된다.대칭성 보존의 신앙 ... ...
선진국형 물관리 실현하는 벤처의 산실
과학동아
l
200007
더러워진 대량의 물을 정화시킨다면 훌륭한 대책이 마련될 수 있지 않을까.바로KAIST 토목
공학
과 환경관리연구실이 몰두하고 있는 분야다.이 일이 성공적으로 이뤄진다면 경제개발과 환경보존을 조화시킬 수 있는 선진국형 수질관리가 한국에서 실현될 수 있다.연구실을 이끌고 있는 박희경 교수는 ... ...
현상공모 유전자 개수를 맞춰라
과학동아
l
200007
모델생물의 전체 게놈의 비교, 그리고 일부 인간 염색체를 통해 이뤄졌다. 독일 분자생물
공학
연구소의 로젠탈 박사는 본문에서 설명한 것처럼 염색체 21번과 22번의 유전자 개수를 이용한 계산으로 사람의 유전자는 4만개 이하가 될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러한 수치에 대해 과학자들은 생물의 ... ...
3. 유전자가 여는 디스토피아?
과학동아
l
200007
playing God)을 할 경우 인간에게 과연 어떤 일이 기다리고 있을까? 그 어느 때보다도 생명
공학
자의 윤리의식이 요구되는 때이다.미국 케네디 윤리연구소장 리로이 월터스 유전정보 차별로 보험 혜택 소외자는 늘 듯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된다는 발표로 세상이 떠들썩한 시기에 미국의 ... ...
우라늄탄이 장갑차를 뚫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07
것일까. 최근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지는 우라늄탄에 대한 물리학적이고 재료
공학
적인 원리를 보도했다.자연상태의 우라늄 광석에는 방사능이 강한 우라늄235(0.72%)와 이보다 방사능이 약한 우라늄238(99.27%)이 혼합돼 있다(우라늄238이 붕괴해서 생긴 우라늄234도 극미량 존재한다). 원자력 발전에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