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4,385건 검색되었습니다.
보현산의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200007
망원경의 두뇌를 제어하는 전자
공학
자는 물론, 망원경을 조립하고 설치하는 기계
공학
자역할도 해야했다.선진국 같으면 망원경을 설치하고 운용하는 팀과 그 망원경을 이용해 연구를 하는 팀이 따로 있다. 천문대의 연구원들도 대부분 학자로서 망원경을 이용해 연구를 하고 싶지만, 우리나라의 ... ...
환자가족이 치료약 개발 주도
과학동아
l
200007
만명 정도이며 세계적으로도 그리 많지 않다. 그래서 미국 낭포성 섬유증 재단(CFF)이 생명
공학
회사인 오로라 바이오사이언스사(Aurora Biosci-ences)에 직접 3천만달러를 투자해 낭포성 섬유증 치료제를 개발하도록 했다. 일단 유망한 치료제 후보를 찾아내면 임상실험에 들어가기 전까지 1천6백9 ... ...
2. 기능 없는 97% DNA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07
게놈프로젝트를 통해 인간을 비롯한 여러 생물의 유전정보가 속속 밝혀지면서 과학자들은 새로운 딜레마에 빠졌다.별다른 쓸모가 없어 보이는 DNA가 게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고등생물일수록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쓸모 없어 보이는'DNA.과연 이 DNA는 용도 폐기된 것일까.아니면 ... ...
1. 인간 유전자는 몇개인가
과학동아
l
200007
생명의 암호문으로 불리는 인간DNA 염기서열 초안이 이미 공개됐다.2003년 무렵에는 완벽한 해독이 가능해질 전망이다.이제 남은 것은 유전자의 규명.최근 유전자의 개수에 대한 새로운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과학자에 따라 서로 다른 숫자를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지난 6월 11일 미국 국립보건원 ... ...
한국과학사
과학동아
l
200007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무한한 가능성에 도전하기를 기대한다. 또 한국의 옛 과학자와
공학
자, 그리고 기술자들이 남긴 업적과 유산들 속에 살아있는 창조적 아이디어를 발견하기를 원한다. 이를 위해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면면이 이어져온 전통과학의 유산들을 통사적이면서도 독립적인 ... ...
세계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06
2차대전 이후 각국의 군사 정세와 역학관계의 변화에 따라 해군의 전략과 전술은 계속 변화되고 있다. 대규모적인 세계 전쟁이 국지적인 지역 전쟁으로 변하면서 해전 장소가 외해에서 연안으로, 작전 형태도 해군의 단독 작전에서 육군과 공군 및 해병대와의 통합 작전과 연합 작전으로 바뀌면서 ... ...
컴퓨터 속의 통역사 자동번역기
과학동아
l
200006
관계를 논리적으로 설정해놓았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정확하고 표현이 무미건조한
공학
계열 문서의 번역률이 매우 좋은 편이다. 제품의 사용설명서 등 비교적 문장이 간단하고 정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쓰여진 글들도 번역이 거의 완벽하다. 또한 기존의 번역기들이 좋은 번역을 얻기 위해 거의 ... ...
생각만으로 전등을 켜고 끈다
과학동아
l
200006
0개 이상의 연구팀들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연구하고 있다. 로체스터 대학 컴퓨터
공학
과 대학원생 제시카 베일리스는 가상룸 실험실에서 가상현실헬멧을 착용한 사람이 전등을 켜거나 끄는 일, 자동차 모형을 멈추게 하는 일 등을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현재까지는 뇌파로 가장 단순한 ... ...
② 청각 : 원하는 소리만 듣는다
과학동아
l
200006
음성 주파수를 시간의 간격을 두고 인식하기 때문에 이 문제가 해소된다.이와 같은
공학
적 응용이 훨씬 활발해진다면, 그리고 음성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개발된다면 미래 사회는 어떤 모습으로 변할까.모든 기계에게 말로 명령하고, 키보드 없이 일상적인 언어로 문서를 작성하며 ... ...
④ 행동 : 일사불란한 작전 펼치는 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006
경우이다. 한편 박쥐의 음파탐지 행동을 모방해 레이더를 개발한 것은 생물의 기능을
공학
적으로 응용한 것이다.하지만 인공생명 연구자들은 생명체의 외형적인 모양이나 기능뿐 아니라 인간의 두뇌와 생명체에 내재된 행동원리와 규칙도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다. 자연계의 벌이나 개미와 같은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