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는 것이 모두 진짜는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것이다.사람의 욕구도 착시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배가고플 때 다른
그림
을 음식
그림
으로 잘못 보는 현상이 이에 해당한다. 또 사막에서 있지도 않은 오아시스가 보이는 현상을 같은 이치로 설명하기도 한다.감각기관인 눈과 심리적 요인이 결합돼 일어난오류다 ... ...
3 침팬지는 인간의 조상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사이의 상호관계와 종 사이의 계통 및 진화 양상을 연구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림
).정크DNA는 ‘위성DNA’와 역전사 효소를 암호화하고 있는 ‘레트로엘리먼트’로 구분할 수 있다. 위성 DNA는 같은 종 내에서도 다양한 형질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계통관계의 분석뿐 아니라 범죄수사에도 ... ...
3 배출된 이산화탄소 격리수용 시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있으며, 저장과정이 순수 자연현상처럼 이뤄지므로 친환경적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림
1)..특히 해양 격리 저장이 IEA의 경제성 및 기술성에 대한 예비 검토 결과, 가장 현실성이 있다는 판단에 따라 많은 연구투자가 이에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중 저장의 경우에는 주변의 환경과 생태계에 매우 ... ...
사이버 세계 수호하는 디지털 수사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그리고 의뢰자인 경쟁회사가 건네준 S그룹의 전산망 구조 등이 담긴 자료를 압축시켜
그림
파일 안에 숨겨놨던 것이다.표인식은 해당 자료를 검찰에 건네줬고 검찰은 이를 증거로 두명의 바이러스 제작자를 기소할 수 있었다. 용의자도 명백한 증거 앞에서 자신들의 범죄를 시인할 수밖에 없었다 ... ...
자연의 빈자리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들 때라야 비로소 글을 쓰고
그림
을 그렸다고 한다. 더욱이 놀라운 것은 책에 있는
그림
들이 원래는 모두 실물크기로 그려졌다는 사실이다. 꽃잎보다 작은 바하마벌새에서 몸통이 8m에 이르는 거대한 스텔라바다소에 이르기까지 살아움직이는 듯한 생동감이 느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또한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풍압을 이용하는 풍속계 다인스자동기록풍속계의 준말이며 1892년 W H 다인스가 고안했다 [
그림
]에서 B에 가해지는 풍압은 관 C를 통해 I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또 A에는 여러 개의 작은 구멍이 있어서 바람이 불면 흡출작용이 생겨 N에서의 압력이 줄어든다 I, N부의 압력차에 따라 떠돌이 F는 ... ...
2 말하고 생각하는 능력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복잡한 구조에 있다. 이런 차이를 설명해 주는 키워드가 바로 CMAH(CMP-Neu5Ac Hydroxylase)다(
그림
).이 유전자는 세포 내에서 ‘Neu5Ac’라는 화합물에 산소를 첨가시켜 ‘Neu5Gc’라 불리는 시아릭산(sialic acid)을 만든다. 침팬지를 포함한 대부분의 동물 세포에는 이 유전자가 매우 활발히 기능을 하고 있다. . ...
사스바이러스는 감기바이러스의 돌연변이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있다 영국의 W 니콜슨이 고안했다 되먹임(feed back) 제어계의 주파수 특성을 구하는
그림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각종 전기회로나 기구(機構) 부품으로 이루어진 자동제어계에서 특히 선형(線形) 되먹임(폐루프) 제어를 할 때는 입력과 출력의 비 및 위상변이(位相變移)가 제어계의 가장 효율적인 ... ...
거대한 도시 실험실 에든버러 사이언스 페스티벌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고생물학자가 돼 있다. 이 코너에는 다양한 공룡의 뼈모습과 그들의 생태를 설명해놓은
그림
자료가 많이 걸려 있다. 따라서 어린 지질학자들은 공룡뼈 찾는 놀이를 통해 한때는 지구의 주인이었던 공룡에 대해 살아있는 지식을 자연스럽게 체득하게 된다.축제의 또다른 참가자 돌리 미라이 외에도 ... ...
바람따라 일어서는 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굵은빨대와 가는빨대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들어가 구멍이 큰 위쪽으로 빠져나간다(
그림
).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르면 공기가 빠르게 움직이는 위쪽은 아래쪽에 비해 기압이 낮아진다. 따라서 빨대 속에는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생겨 실을 끌어당긴다. 실이 꼿꼿하게 선 상태에서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