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적외선우주 관측하는 새로운 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침전물을 가열할 필요가 있을 때 특히 거름종이와 함께 가열해서는 안될 때에 이용된다
그림
과 같이 바닥에 작은 구멍이 무수히 뚫려있다 1883~1952 독일과 스위스에서 활약한 러시아 태생의 화학자 러시아의 도르파트에서 태어났다주로 독일에서 교육을 받고 라이프치히 대학 등에서 화학을 ... ...
지구를 지키는 원자력특공대 vs 산소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남편의 실험을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사실감 넘치는
그림
을 그렸기 때문에 그
그림
들을 토대로 한 화학교과서 ‘화학원론’이 출판된 것 아닌가요?마리 폴리 : (자랑스러운 듯) 제가 후세에 그렇게 유명해진다니 기분 나쁘진 않군요. (화제를 돌리며) 어쨌든 제 남편은 물질이 탈 때 공기가 ... ...
② 사스 동물 바이러스 돌연변이가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것이다.이러한 유전자재조합에서 돼지가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62쪽
그림
2). 이탈리아 과학자들은 조류 독감바이러스가 1979년 돼지로 전이됐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인간 독감바이러스도 1968년 돼지에게 전이됐다. 돼지가 새로운 숙주가 되면서 두 종류의 독감바이러스가 돼지 ... ...
5 분자생물학 만능시대 극복하는 통합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설명을 들어보자. 그는 같은 모형을 통해 발생과정에서 모듈의 중요성을 쉽게 설명했다.
그림
에서 작은 구슬은 세포의 운명을, 계곡은 이 구슬이 굴러갈 수 있는 길(모듈)을 나타낸다. 발생 초기에는 어느 정도 융통성이 있기 때문에 세포는 다양한 길로 나아갈 수 있다. 하지만 발생이 진행되면서 ... ...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저절로 극복된다.식물에 생물시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가장 뚜렷한 예가 잎운동이다(
그림
).초본류 식물의 잎은 24시간의 주기를 갖고 위 아래로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데, 이는 잎운동이 생물시계의 조절을 받기 때문이다. 나팔꽃잎이 하루를 주기로 접혔다, 펴졌다 하는 현상도 생물시계에 의해 ... ...
제11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학암포의 저녁 무렵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수평선 위로 이어진 깨끗한 밤하늘, 그리고 그 위에 펼쳐진 별의 일주운동이 한폭의
그림
처럼 멋들어진 장면을 연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아마추어천문학회 감사이기도 한 권오철씨는 7전8기 끝에 천체사진공모전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그동안 은상 1번, 동상 5번, 장려상 1번을 수상했다. ... ...
꽃 피게 만드는 유전자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받고 있다.장일식물인 애기장대에서 밝혀진 개화조절 모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그림
5). CO 유전자의 발현량을 시간별로 측정해보면 24시간의 주기로 늘었다, 줄었다를 반복하고 있다.그런데 흥미롭게도 계절에 따라 이 주기가 약간 어긋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겨울이나 초봄에는 낮 동안 CO ... ...
컬럼비아호 잔해 2만개 조각맞추기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보란 BH3, 트리메틸알루미늄 Al(CH3)3 등은 회합성(會合性)이 있으며 이합체(二合體)로서
그림
과 같은 형태로 존재한다 특수한 결정에 빛을 투사할 때 투사 방향에 따라 결정의 두 끝을 연결시킨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달라지는 현상 X선 · 중성자선 · 전자선의 조사(照射)에 의한 회절상으로 ... ...
① 메타게놈이 가져온 DNA 연구 혁명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갖는지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방법을 ‘메타게놈 클로닝’(metagenome cloning)이라 한다.(
그림
)메타게놈의 실제적인 예를 들어보자. 만약 토양에서 분리한 메타게놈 속에 새로운 효소나 항생제를 생산할 수 있는 유전자가 있다고 가정하자. 이를 BAC 벡터를 이용해 대장균에 성공적으로 옮겨 ... ...
광고 속 공기청정기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크기와 제거효율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곡선은 마치 흙을 파낸 구덩이와 비슷한 모양이다(
그림
5). 즉 어느 입자 크기를 기준으로 그보다 작거나 클수록 제거효율이 높아진다. 필터나 전기집진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공기청정기는 0.3μm 크기에서 이같은 제거효율 특성을 보인다. 즉 0.3μm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