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d라이브러리
"
새
"(으)로 총 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 만약 세상에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하지 않는다면 거기서는 에너지 걱정을 조금도 할 필요없다. 이는 마치 다 태운 연탄이
새
연탄보다 화력이 좋고 두 번 때고 난 연탄은 더욱 화력이 좋아서 연탄 한장만 있으면 평생을 때고도 처음보다 더 좋은 연탄이 된다는 것이므로 에너지를 주체할 수 없게 된다는 뜻이다. 때면 땔수록 화력이 ... ...
바다 온도 음파측정 돌연 중단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대양의 수온을 재는 3천5백만 달러(약2백80억원) 상당의
새
프로젝트가 실시를 앞둔 지난 3월 말 돌연 연기됐다.근착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이는 고래와 바다 속 포유류에 해를 입힐 수 있다는 환경단체의 주장 때문이었다. 이를 둘러싼 논쟁은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운동단체'와 '위기에 처한 동물을 ... ...
3. 살 길 찾아 아시아·유럽으로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이 됐을 것으로 추정되며 결국 아프리카를 떠나
새
로운 대륙에서 생존할 수 있었던 것이다.그런데 도대체 아프리카를 왜 떠났는가? 어떻게 하여 인류가 그토록 오랜 기간 동안 머물고 있던 아프리카를 떠났을까? 사실 지금까지 호모 에렉투스들이 아프리카에 ... ...
척추동물 수컷은 암컷에서 진화했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성을 논할 때는 불충분하다는 점이 밝혀졌다는 것. 그는 여기서 척수동물을 포괄하는
새
개념을 제창한다.즉 성을 진화의 관점에서 보아 '성은 유전적으로 결정된다'는 현상을 뛰어넘는 포괄적인 사고에 눈을 돌리자는 것이다. 수컷이라는 것은 최초에 진화한 자기복제가 가능한 생물(즉 암컷)의 ... ...
반도체 소재 기술 '고순도 다결정 실리콘'
새
공정 개발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반도체 산업의 원천소재인 고순도 다결정 실리콘을 값싸게 제조하는
새
로운 공정을 화학연구소(KRICT)와 공동 개발, 세계 최대 다결정 실리콘 생산업체인 독일 박커 케미트로닉스사와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수출로 동부제강은 일단 상업화 기술료로 3백84만 달러를 받았고 앞으로 매출액의 ... ...
PARTⅠ'20세기의 판도라 상자' 핵에너지, 어떻게 탄생됐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견뎌내고 핵자들을 결합시키는 힘이 존재하려면 아주 좁은 공간속에서만 작용하는
새
로운 힘을 상정하지 않으면 안됐다. 1935년 일본의 유가와는 핵력이라는 존재를 처음으로 제안했다. 그에 따르면 양성자와 중성자는 파이중간자라는 입자를 교환함으로써 강한 인력을 발생시킨다는 것. 유가와는 ... ...
한반도에서 시조
새
화석 발견됐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새
'라는 뜻이 담긴 학명 Koreanaormis hamanensis Kim이라 명명한 바 있다.북한에서 조선 시조
새
가 발견됐으니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남한에서도 발견의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보도가 사실이라면 말이다 ...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사람들은 옛날부터 지구에 대해 많은 의문을 갖고 탐구해 왔다. 그 결과 우리는 지구에 관한 많은 지식을 얻게 됐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 ... 인간이 만들 수 있는 가장 정교한 쇠구슬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자! 그러면 여기서
새
로운 문제가 생긴다. 과연 지구는 타원체인가 아니면 구형인가 ... ...
인공효소 개발로 한국 과학상 대상 받은 서울대 화학과 서정헌 교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개념적 학문적 발전이라는 동기도 있을 뿐더러 현재는 쓸모가 없어도 장기적으로
새
로운 기술을 낳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당장 눈앞의 경제성만을 따지다 보면 50년 후에도 지금과 마찬가지로 선진국 과학기술의 꽁무니를 쫓아가는 모습일 수밖에 없지요."그는 ... ...
그림 솜씨 보고 얼굴형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알았다.가모(假母)에게서 자란
새
의 울음소리는 키워준 가모의 것을 닮지만 발음기관(
새
들에게는 성대가 없다)의 해부학적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똑같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즉, 키워준 어머니의 울음소리(문화)를 배워서 익혀도 목부분의 해부학적 구조(체질)가 다르면 똑같이 울 수 없다는 말이다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