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d라이브러리
"
새
"(으)로 총 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질적인 얼굴 반점 지우는
새
레이저요법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희소식. 지금까지 없애는 게 불가능했던 반점을 지울 수있는
새
루비 레이저요법이 개발됐다는 소식이다. '오타씨 반점'이라 불리는 이 피부 넓은 부위에 걸친 반점은 짙은 화장만이 흉을 가리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그러나 의사들이 개발한 특수 루비 레이저 기기에서 나오는 ... ...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수백세대를 거친 뒤에도 늘 그 특정형태에 관한 유전 정보를 자손에게 전달할 것이고
새
로 태어나는 개체 역시 똑같은 모양을 형성해 나가는 것이다.이런 맥락에서 보면 형태형성에 이상이 생긴 많은 돌연변이체를 선발해 그 유전자를 분리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일이 우선돼야 형태와 모양의 ... ...
남북학자들이 공동연구할 그날은 언제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작년 10월 21일 북한 김일성 대학에서는 세계적으로 희귀하고도 중요한 화석이 발견됐다는 발표가 있었다. 약 4년전인 1989년 3월 신의주 근교의 백토동이란 곳에서 한 여학생이 ... 자유롭게 공동으로 연구할 수 있는 그날은 언제쯤 올 것인가. 북에 있다는 조선 시조
새
화석이 보고 싶다 ... ...
'공기 비타민' 음이온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M}^{+}$는 음극인 방전극에 충돌 흡수된다. 이때 충돌에너지에 의해 방전극 표면에서
새
로운 전자가 튀어나와 양이온에 의한 방전극면에서의 γ작용의 2차 전자 방출로 방전이 계속 되는데, 음이온 생성메커니즘은 방전침 부근의 전리역 내에서 αγ작용의 전자사태로 발생한, 운동에너지가 큰 고속의 ... ...
서해안철
새
도래지 보호관리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혹부리오리 19마리, 마도요 12마리, 민물도요 73마리 등이 보였다. 이날 탐사팀의 눈에 띈
새
의 종류는 10여종, 개체수도 1천21마리에 불과해 많은 종과 개체수가 발견된 내수면쪽과 비교가 됐다 ... ...
나쁜것, 좋은것, 혹은 양쪽 모두?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뻗어 어디에든 닿을 수 있다. 덩굴은 마디를 가지고 있고 각 마디에서 뿌리가 뻗어나와
새
로운 개체가 된다. 씨가 무슨 필요가 있겠는가?칡은 농경지 숲 가옥 전신주 등 모든 곳을 뒤덮어서 많은 손상을 야기시킨다. 그래서 30년 전부터 사람들은 칡에 제초제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토르돈 ... ...
"개발 이전에 반드시 환경평가 거쳐야"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숲이 방해가 된다하여 베어버린다면 그것은
새
의 먹이가 되는 벌레들의 환경을 파괴하여
새
를 살지 못하게 하는 게 되겠죠. 자연은 포괄적인 연관고리 하에서 전체를 고려해야 합니다. 아까 교수님께서도 말씀하셨지만 조류보호는 비관적이지 않다고 봅니다.환경과 개발은 합리적으로 조화되도록 ... ...
화학- 재생종이 만들기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발달함에 따라 석판이나 점토판에 상형문자를
새
기기도 하고, 동물의 가죽에 정보를
새
기기도 해서 기록을 남겼습니다. 그 이후 이집트에서는 파피루스를 이용해서 정보를 기록·전달했습니다.여러분들이 알고 있는 것처럼 종이는 후한시대의 사람인 채륜에 의해 발명됐습니다. 종이의 발명은 ... ...
탐구력 길러주는 기초과학 특강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3월 봄이다. 만물이 기지개를 켜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새
학년도 시작됐다. 읽는 이의 탐구력과 종합적 사고력 배양에 주안점을 둔 기초과학특강은 이번 학기에도 꾸준히 계속된다. 기초과학이 튼튼해야 그 나라의 장래가 밝다지 않던가.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HBs Ag으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유전자 조각을 분석하여 재조합백신을 얻을 수 있다.
새
로운 백신제조방법 개발그러나 대부분 인체에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서는 방어항체의 생성을 유도하는 항원의 성상이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재조합 백신을 개발하기가 쉽지 않다앞서 언급한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