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Photo] 홍연석(Crocoite) 존재 자체가 기적인 ‘생존자’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주로 사용하지만, 주기율표에 있는 원소 대부분은 광물을 구성하는 성분을 분석하면서
발견
됐다. 색과 결정이 아름답고 희귀한 홍연석은 점차 광물 수집가들의 인기를 얻었다. 그 중에서도 이곳 태즈메이니아 출신 홍연석은 다른 지역에 비해 월등하게 아름답다는 평가를 받는다.이중고를 견디고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상세히 기록된 도면과 사진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뼈가 애초에 무작위로 섞인 채
발견
됐다면 현장보다는 실험실에서의 역할에 기대를 걸 수밖에 없다. 법의인류학자들은 뒤섞인 뼈를 구분하기 위한 다양한 훈련을 받는다. 예를 들어, 좌우측 뼈를 여러 개 놔두고 형태학적인 특징만을 이용해 ... ...
[가상인터뷰] 세상에서 가장 긴 곤충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것이 26cm였어요. 후훗! 저 같이 커다란 대벌레는 주로 더운 지방에 많이 살아요. 제가
발견
되기 전까지 가장 긴 곤충으로 알려졌던 대벌레 친구는 말레이시아 살고 있었답니다. 앞으로도 대벌레에 많은 관심 부탁해요 ...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평면거울 하나와 오목 거울 한 개를 엇갈려 뒀을 때 상이 명확하게 비친다는 사실을
발견
했습니다. 오목거울을 이용했기 때문에 상은 거꾸로 맺혔습니다. 오목거울은 빛의 반사 법칙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에 어느 정도 거리가 멀어지면 상이 반대로 맺히기 때문이지요.다른 사람의 초상화를 그릴 ... ...
Part 2. 위상적인 미래를 엿보다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외과 의사이자 해부학자인 줄리어스 울프는 많은 사람의 뼈를 해부해 본 결과 패턴을
발견
했다. 그리고 1892년에 사람이나 동물의 뼈는 받는 압력에 따라 변형된다는 ‘울프의 법칙’을 발표했다. 뼈가 환경에 따라 스스로 최적화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엄밀한 증명이 있었던 건 아니고, ... ...
[과학뉴스] 광합성도 안 하고, 꽃도 안 피는 식물?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추측했다.수엣수구 교수는 “완전히 폐화수정을 하는 식물은 매우 드물기 때문에 이
발견
은 폐화수정 식물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식물분류학 학술지 ‘파이토탁사’ 10월 14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플라시보 효과’ 뇌과학으로 입증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효과를 담당하는 뇌 영역이 최초로
발견
됐다. 미국 노스웨스턴 의대와 시카고 재활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퇴행성 무릎 관절염으로 만성 통증을 앓고 있는 환자 17명에게 가짜 약을 처방한 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MRI)으로 뇌를 관찰했다.그 결과 절반이 플라시보 효과를 보이며 통증이 크게 줄었다. ... ...
Intro. 백두산 폭발 대해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1100km가량 떨어진 일본 북부 지방에서 백두산에서 폭발한 것으로 보이는 화산재층이
발견
되면서부터다.국내에는 활동 중인 화산이 없다고 안심했던 사람들은 그 후, 백두산이 1000년 전 지구 전체에 기후변화를 가져올 정도의 큰 분출을 일으켰고, 폭발 주기가 약 100년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마그마는 주변 맨틀과 만나면 서로 섞여 새로운 암석을 만든다. 그러나 백두산에서
발견
된 포획암은 달랐다. 검은색 현무암질 암석 속에 옥색의 감람암을 온전히 간직하고 있었다. 감람암은 맨틀의 주된 구성 물질이다. 대학에서 공학을 전공하며 기초과학을 배웠지만 맨틀이 옅은 초록색을 띤다는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우주가 등방하다’는 것은 지구 위에서 관측할 때 우주의 방향성을 구별할 수 없다는 뜻이다. 처음 우주 등방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건 1920년대 즈음이다. 현대의 우주론이 자리를 ... 특이한 진화를 한다는 것은 현대 과학이 기반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원리를 흔드는
발견
일 것이다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