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대칭 도형 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개수가 몇 개인지 읽을 수조차 없는 이 도형은 196,883차원에서 볼 수 있어요. 이 도형을 발견한 피셔조차도 어떤 모양인지 상상이 가지 않아 ‘몬스터’라는 이름을 붙여줬어요.➊ 대칭축 오브젝트와 연필 오브젝트, 글상자 오브젝트를 3개 만들어요. 글상자의 이름을 각각 ‘좌우 대칭’, ‘상하 ... ...
- [과학뉴스] 고통을 모르는 벌거숭이 두더지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비교했다.그 결과 벌거숭이 두더지쥐의 TrkA 수용체에서 1~3개의 아미노산 구조 변화가 발견됐다. 연구를 주도한 개리 르윈 교수는 “아주 미묘한 변화가 중요한 특징을 만들어냈다”며 “사막의 땅속에서 살아오는 과정에서 열로 인한 통증을 느끼지 못하도록 진화한 결과”라고 추측했다. 연구 ... ...
- [과학뉴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태양을 닮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별점은 주변보다 온도가 낮아 검게 보이는 부분이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2002년에 처음 발견됐을 당시, 태양의 10분의 1만큼 작고 1000분의 1수준으로 어두워 태양과는 전혀 다른 별로 분류됐다. 하지만 태양 표면에 100여 개의 흑점이 11년 주기로 생겨나는 것처럼 프록시마 센타우리 표면에서도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온, 의심의 여지가 없는 천재 물리학자다. 그는 ‘홀데인 간극’이라고 알려진 현상을 발견해서 명성을 쌓기 시작했는데, 학계에서는 종종 홀데인을 일인자로 봤을 때, 두 번째로 뛰어난 응집 이론 물리학자와 그 사이에 존재하는 격차를 홀데인 간극이라고 부르기도 한다.홀데인이 연구 인생 ...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중성자 흡수력이 뛰어나다. 더구나 붕소는 2차 우주선에서 발견되는 2차 중성자를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난 원소다. 튜브 안에 수소 분자를 넣어주면 수소와 화합한 BNNT가 된다.NASA 랭리연구소에서 2014년 발표한 논문에는 액체수소, 물, 질화붕소, 폴리에틸렌, 수소와 화합한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시도하고 있다.miRNA와 siRNA는 작은 RNA의 전부가 아니다. 새로운 작은 RNA가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 생명과학계의 또 다른 화두인 ‘유전자 가위’ 기술에도 작은유도RNA(sgRNA)라는 RNA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밖에도 snRNA와 snoRNA 등 다양한 작은 RNA들이 생명과학자들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어쩌면 ... ...
- [Knowledge] 보석이 된 옛 생명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광물로 변한 것이다. 물론 시베리아의 동토에서 종종 발견되는 매머드나, 건조지역에서 발견되는 미라의 경우는 다르다. 지난 6월호 광물이야기에서 겉모양과 실제 광물 성분이 다른 ‘가상’ 이라는 현상을 소개했다. 화석은 대표적인 가상 광물이다. 하지만 모든 생명체가 화석이 될 수 있는 것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발하는 순간이었지요. 여기저기서 수원청개구리와 청개구리, 금개구리, 참개구리들이 발견됐어요. 대원들은 장교수님과 수원청개구리 연구자인 아마엘 볼 체, 배윤혁 연구원에게 개구리의 특징과 탐사방법을 배운 뒤, 개구리들을 모두 논에 풀어 주었답니다. 그리고 어린이과학동아 앱을 활용해 ... ...
- [도전! 코드마스터] 논리적으로 생각하자! ‘컴퓨팅 사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또 생물의 특징을 찾은 뒤 비슷한 것끼리 묶어서 분류해 놓은 덕분에 새로운 생물을 발견했을 때 바로 생물의 종류를 알 수 있지요.결국 컴퓨팅 사고는 어떤 문제든 창의적이고 논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힘이라고 할 수 있어요. 최근에는 생물 게놈 지도를 만드는 것처럼 거대하고 복잡한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돌’을 의미하게됐지요.실제로 자연에는 자석이 자철석(사진) 같은 암석의 형태로 발견돼요. 암석에 철로 된 물체가 척척 달라붙는 것을 본 옛 사람들이 그 성질에 따라 이름을 붙인 거지요. 지구도 거대한 자석이에요. 북극이 S극, 남극이 N극에 해당한답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해 나침반으로 ... ...
이전2993003013023033043053063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