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내일의 우주인 꿈키워주는 일본 「스페이스 캠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를 소유하고 있어 실제적인 주인이지만 스페이스월드를 만드는데는 미쓰비시상사와 일본
항공
(JAL) 등 30개가 넘는 일본내 대기업들이 자본금을 내놓았다. 이러한 투자형태 때문에 위락시설이라고는 하지만 돈벌이보다는 기업이윤의 사회환원이라는 차원이 더 강조돼 보인다.스페이스월드의 정문을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고분자의 일종. 요즘은 고분자의 성능이 워낙 우수해 각종 산업용제품은 물론 자동차
항공
기의 영역에까지 널리 응용되고 있어 현대를 고분자 시대라 부르기도 한다.고분자는 분자량이 5만 이상인 것을 말한다. 분자량이 적은 기체나 액체상태의 단량체를 화학적 방법으로 새끼꼬듯이 엮어서 거대한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행성탐사기에서 관측한 사실을 토대로 새로운 행성을 예측해 눈길을 끌었다. NASA(미국
항공
우주국)의 앤더슨에 따르면 1백50년 전부터 관측된 데이터를 추적해보면 천왕성과 해왕성 사이가 약간 멀어지고 있다는 것. 그러나 파이오니어의 데이터에는 이러한 결과를 낳게 한 인력을 찾아낼 수 없었다. ... ...
「멋진 신세계」를 그리는 햇병아리 SF작가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열의를 가진 회원들에게도 장애가 된다. SF가 발달한 미국의 경우를 예로 보면 NASA(미
항공
우주국)에서 SF작가를 초청해 내부시설을 견학시키는 등 전문과학기술자들이 SF를 위한 소재를 제공하거나 과학자들 자신이 SF작가로 활동하는 예도 자주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 실정에선 이런 도움은 꿈도 ... ...
물고기 생태 이용해 활어회 즐긴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일본 남쪽 끝 도시인 가고시마에서 도쿄까지의 시험운송은 성공적으로 치뤄졌다. 일본
항공
은 내년부터 72시간 이내에 전지역으로 운송,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 ...
항공
사진에 잡힌 「의문의 동그라미」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등의 평야지대에 출현해 지구밖 문명체의 가능성을 시사해주는 '미스터리 원'의
항공
사진이 공개됐다.'과학 아사히'에 게재된 이번 사진은 지난 8월 영국 월트셔 지방에서 촬영한 것. 소형비행기를 타고서 찍은 것인데 보리가 뒤집혀진 방향까지는 보이지 않지만, 사람이 보리를 뒤집고 들어간 ... ...
팽이 오래 돌리기놀이의 챔피언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일정한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모로 활용가치가 있다. 특히 함선이나
항공
기에 적용돼 항상 진행방향을 정확히 알려주는 자이로스코프는 인류의 위대한 발명품이 되었다. 자이로스코프는 우주팽이와 같이 중심에서 돌고 있는 회전원판과 그것을 이어주는 쇠테가 90°의 차이를 두고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소재산업으로 돈을 벌지는 못한다. 그러나 이 원천기술을 갖지 못하면 정보통신 우주
항공
자동차 에너지 등 미래산업 모든 분야에서 사상누각을 짓는 것과 같다"고 진단한다.리드프레임 아라미드펄프 초강력합금 등 80년대에는 몇몇 세계적 수준의 신소재개발이 있었다. 이제는 전시효과로만 ... ...
화성을 「제2의 지구」로 만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두사람과 함께 저명과학지 '네이처'(Nature)에 화성개발의 가능성에 대한 논문을 실은 미
항공
우주국(NASA)아메스연구소 맥케이 박사의 말이다.화성개발계획에는 사실 반대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미지의 화성조차 인간들이 버린 쓰레기로 오염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지구문제를 해결하는데도 부족한 ... ...
신소재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지금 소재혁명 시대에 살고 있다. 가장 가벼운 소재를 개발해
항공
기를 만들고 가장 강하고 단단한 소재를 만들어 빌딩을 짓는다. 또한 기억력을 갖거나 물만 먹고 사는 특수한 기능을 지닌 새로운 소재를 개발해내 편리하게 써먹고 있다. 각 신소재의 특성과 응용분야를 알아보고 국내 연구 수준과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