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내놓은 집의 사진을 금방 전산화된 목록에 첨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밖에도 민간
항공
사와 여행사들은 인기있는 휴양지의 모습을 전자 사진으로 수록한 뒤 이것을 플로피디스크에 복사, 지사에 보내고 있다. 지사에서는 텔레비전을 이용, 이 생생할 사진들을 방영해 고객들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 ...
3 건물배치도 훌륭한 소음대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시민 대부분이 환경기준치 이상의 극심한 소음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자동차
항공
기 지하철 등의 교통소음, 컴퓨터 냉난방공조설비 등 각종기계소음, TV등 전파 매개체의 소음, 사람들의 말소리 등 현대인들은 눈을 뜨자마자 거침없이 쏟아져 들려오는 주위 환경 소음에 거의 무방비 ... ...
우주공간의 무충돌 충격파 연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압축되면서 발생하는 현상. 화약이 폭발해 극히 짧은 시간에 공기압축이 된다든지
항공
기가 음속보다 빠른 속도로 공기중을 움직일 때 발생한다. 초음속항 공기에서 발생하는 충격파(sonic boom)는 지면에 도달해 건물에 피해를 입히는 경우가 있다.우주공간은 고온상태에서 별들로부터의 자외선을 ... ...
1 전화벨에서 비행기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교육에 대해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우리나라 학교는 교통소음
항공
기소음 철도소음 건설공사소음 그리고 공장소음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학생들은 수업시 교사가 가르치는 말소리를 듣는데 불편을 겪어야 하며 교사는 더 큰 목소리로 가르쳐야 하므로 피로감이 가중된다. ... ...
4 고함소리의 1백억 배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대표적인
항공
기로서 성능과 소음면에서 기존
항공
기(CTOL)보다 우수하다. 따라서 미래의
항공
기는 성능 향상뿐만 아니라 소음을 줄이기 위해 국제 공동협조로 연구개발될 것이다. 들리지 않는 소음 초저주파 아파트가 갈라지고 빌딩이 흔들린다1973년 파리에서 초저주파음에 대한 국제토론회가 ... ...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앞에서 언급한 약물외적인 대책들보다 그 효과가 떨어지는 경우도 흔하다.미해군과
항공
우주국(NASA)은 멀미에 대한 감성을 줄여주는 몇몇 약물을 개발해 냈다. 멀미약이 제약회사가 아닌 다소 의외의 기관에서 개발된 점을 의아하게 생각하는 사람도 적지 않을 것이다. 사실 근대에 이르러 멀미를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컴퓨터보다 월등히 계산능력이 뛰어난 슈퍼컴퓨터의 사용이 필수적이다.그러나 몇몇
항공
공학자들은 아직도 실제모형의 풍동실험이 더 가치있는 일이라고 믿고있다. 물론 슈퍼컴퓨터를 사용하더라도 그에 사용되는 계산모델이 부정확하다면 어이없는 결과가 나오게 된다. 그러나 컴퓨터는 공기가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중력장을 연구주제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미국으로 이주한 후 NASA(미
항공
우주국)의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60년대 무인 달탐사계획에서 활약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력을 보면 그가 어떤 작풍을 가진 작가인지 대강 알 수 있을 것이다.1970년대 이후의 과학소설은 캠벨이래 대선배들의 ... ...
미국정부, 우주정거장 「프리덤」계획 조정안 승인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바꾸라는 미의회의 요구로 벽에 부딪쳤다. 이에 따라 우주정거장 건설의 실무진인 미
항공
우주국(NASA)은 지난 4월 전체길이를 1백49m에서 1백7m로 짧게하고 우주인 수도 8명에서 4명으로 줄인 조정안을 내놓았다.의회에 제출한 NASA의 보고서에 따르면, 17차례의 우주선 비행을 통해 프리덤의 실험실과 ... ...
2 헛발질할 때도 있는 「세계정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비행기를 이용한다. 실제로 홋카이도로 여행하는 사람은 거의 모두가 터널은 제쳐두고
항공
편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실상 세이칸터널은 전후 일본의 꿈이기도 했다. 당시만 해도 일본인들은 비행기가 오늘날처럼 발전하리라고는 생각조차 못하고 있었다. 또 50년대만 해도 일본 본토의 북단인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