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1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의 최전선]체액서 스스로 헤엄치며 목표 찾아…‘나노로봇’ 암치료 새 희망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마치 길고 가는 소시지 위에 두꺼운 빵가루를 입혀 핫도그를 만들 듯, 편모 나노로봇의
표면
에 딱딱한 물질인 실리카를 편모의 10배 두께(200nm)로 입혔다. 여기에 미세한 니켈 금속을 코팅해 몸체 전체를 자기장으로 조종하게 바꿨다. 속도가 한층 빨라져서 박테리아의 거의 88% 수준의 속도로 헤엄칠 ... ...
종이로 만든 고감도 압력 센서
과학동아
l
2017.12.27
누르는 압력에 따라 소문자와 대문자를 구분해 출력했다. 심 교수는 “재료 자체의 거친
표면
을 활용해 압력 센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2017년 11월 14일자에 실렸다. doi:10.1002/smll.20170036 ... ...
친환경 연료전지 성능저하 막는 방법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7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프늄이나 지르코늄 등 구조의 변형을 막을 다른 금속을 전극의
표면
에 입히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논문 교신저자인 정우철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추가 공정 없이, 소재를 합성할 때 약간의 금속 입자만 넣으면 전극의 노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뜻”이라며 ... ...
[과학&기술의 최전선] 병든 세포 실시간 추적으로 암 조기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정확한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또 입자 크기가 작은 만큼 세포에 잘 흡수되고 부피 대비
표면
적이 넓은 데다 체내 체류 시간이 길어 적은 양으로도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 광학영상 나노램프를 개발한 권익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은 “일반적인 조영제를 이용해 치료 경과를 ... ...
세균도 촉각이 있다
과학동아
l
2017.12.21
스스로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부착 물질을 생성하기 시작했다. 모터가 숙주의 점막
표면
을 인지하는 센서처럼 사용된 것이다. 예날 교수는 “우리는 세균이 기계적 자극을 읽는 방법과, 이런 신호에 반응해 어떻게 행동을 바꾸는지 거의 알지 못한다”며 “카울로박터는 병원성이 없지만, 이번 연구 ... ...
뇌 속에 넣을 수 있는 안전한 '신경전극'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9
환경에서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질산은 전극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표면
처리를 할 때 쓰는 물질이다. 또 김민선 원광대 의대팀과 함께 직접 쥐의 뇌에 신경전극을 삽입한 뒤 쥐에게 인위적으로 발작을 일으키는 실험을 해, 쥐의 뇌 신경신호를 제대로 읽어 들인다는 사실도 ... ...
[동영상] 물 속에서 더 잘 붙는 접착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9
한다. 정 교수는 “미세구조를 더 작고 뾰족하게 만들면 수술 부위 같은 생체 물질의
표면
에도 잘 달라붙는 접착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습식접착제는 젖은 상태에서 서로 다른 물질을 붙이는 물질이다. 주로 물 속에서 단단하게 달라붙는 홍합 단백질을 모방해 개발해 왔다. 다만 ... ...
3400만 년 전 지구온난화 땐 바다 속에 빙하 많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7
것으로 예측됐다. 쉐베넬 교수는 "지질학적 데이터에 따르면 해수 온도와 대기 온도,
표면
에서 빙하가 녹은 물이 현재보다 따뜻한 기후에서 남극 동부의 얼음 질량의 균형을 맞추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이라며 "그동안 미래의 지구 해수면 예측에서 EAIS의 기여도가 과소 추정돼 왔다는 것을 ... ...
트럼프, 유인 달 탐사 행정지침 서명…달 거쳐 화성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2
2019년 12월 시험 발사가 예정돼 있다. 미국은 1969년 유인 달 탐사선 아폴로 11호가 달
표면
에 인류 최초로 착륙하면서 우주 개발 경쟁에서 세계 최강국이 됐지만 아폴로 임무 이후로는 달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 대신 무인 탐사선을 목성 토성 등 심(深)우주로 보내거나 거대 우주망원경을 ... ...
암세포 보호막 뚫는 항암 나노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12.11
모두 인체 내에서 분비되는 물질이다. PH20 효소는 정자가 난자에 들어갈 때 세포막
표면
을 뚫는 단백질이다. 세포에서 분비되는 엑소좀은 세포 간 정보교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양을 가진 쥐에 PH20 엑소좀을 투여한 결과, 엑소좀을 맞은 쥐는 암세포 장벽이 분해되면서 항암제가 암세포 깊숙이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