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각만으로 컴퓨터에 단어 입력… ‘뇌 임플란트’ 시대 오나
2016.11.18
발생한
신호
를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술인 ‘머신러닝’을 이용해 뇌
신호
를 컴퓨터가 학습하고 해석하게 만들었다. 뇌수술에 따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2015년 4월에는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연구진이 수술 없이 주사를 맞듯 혈관을 ... ...
좁은 골목길 누비는 자율주행차 ‘스누버2’ 직접 타보니
2016.11.16
판단되면 사람이 길을 실제로 건너기 시작하기 전부터 기다린다. 스누버2는 교통
신호
나 도로표지판도 인식할 수 있었다. 전방에 ‘일단정지’ 표지판이 나타나자 잠시 동안 멈춰 섰다가 다시 출발했다. 내리막길에 들어서자 속도가 빨라지는 듯했지만 곧 스스로 속도를 줄였다. 서 교수는 “조금 ... ...
고통을 모르는 벌거숭이 두더지쥐
과학동아
l
2016.11.15
두더지쥐의 TrkA 수용체에 주목했다. TrkA 수용체는 신경세포를 활성화시켜 뇌에 통증
신호
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벌거숭이 두더지쥐의 TrkA 수용체를 아프리카두더지쥐 등 다른 포유류 26종의 수용체와 비교했다. 그 결과 벌거숭이 두더지쥐의 TrkA 수용체에서 1~3개의 아미노산 구조 변화가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린란드에 살던 바이킹 후손들은 15세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14
모습을 확인했다. 쥐에게 시각 자극을 주면 새로 생긴 뉴런이 반응해 수상돌기에서
신호
를 만들었다. 그동안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처럼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병에 걸리면 딱히 복구할 방법이 없었다. 이번 연구는 질병이나 사고로 뇌가 손상됐더라도 배아줄기세포를 이식하면 다시 ... ...
마비 환자, 로봇 팔로 새 감각 얻다
과학동아
l
2016.11.12
닿을 때 촉감을 느끼게 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뇌에 소형 전자장치를 넣어 뇌의 전기
신호
를 컴퓨터로 전달해 기계를 작동시키는 뇌-컴퓨터 접속(BCI) 기술을 활용한 것이다. 실험에 참가한 네이선 코플랜드는 불의의 사고로 사지마비 장애를 갖고 있었다. 연구팀은 그의 뇌에서 손 동작과 감각을 ... ...
[커피의 도시, 강릉] 명주사랑채에 가면 ‘오늘은 내가 바리스타?!’
2016.11.10
-> 하부 플라스크에 담긴 커피를 잔에 따르기 뽁뽁뽁뽁 - 물 끓을 준비가 됐다는
신호
다. 이때, 커피가루가 든 상부 플라스크를 살며시 올려준다. 잠시 후 신기한 광경이 벌어진다. 유리관을 타고 뜨거운 물이 위로 올라오는 것이다. 뜨거운 공기는 위로 차가운 성분은 아래로 내려가는 원리다. ... ...
하반신 마비 치료길 열린다… 뇌-척수 무선 연결 성공
2016.11.10
아직 영장류에 적용해 성공한 사례는 없다. 김대수 KAIST 생명과학과 교수는 “뇌의
신호
를 로봇팔 등으로 전달한 실험은 있었지만 다리 쪽 척수로 연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신경을 실제로 살리지 않고도 기능을 회복한 것으로 놀라운 결과”라고 말했다. 척수신경에 손상을 입은 ... ...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11.09
멤리스터가 신경세포 사이에 위치한 시냅스 역할을 해서 적은 에너지로도 뇌의 전기적
신호
를 저장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통로역할을 하게 된다. 연구팀은 여러 개의 멤리스터를 연결한 뒤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제어하면 향후 뇌의 작동방식과 닮은 인공신경망을 구현할 수 있을 ... ...
의사처럼 정확하게 혈압 재는 인공지능(AI) 나왔다
2016.11.08
늘려 컴퓨터에게 학습시킨 것이다. 윤리 문제로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운 생체
신호
수집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는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장 교수는 “딥러닝 기술을 혈압 측정 분야에 적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고혈압의 사전 징후를 알아내는 등, 다양한 의료용 인공지능 ... ...
표범의 추억
2016.11.08
사람과에서만은 2477개, 소과에서만은 1561개였다. 고양잇과의 경우 빛을 지각하고 신경
신호
를 전달하는 유전자들이 많이 속해 있어서 역시 사냥에 필수적인 빠른 반사반응이 생존에 결정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반면 소과에서 냄새를 맡거나 인지기능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잘 보존돼 있어 식물의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