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489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탐사의 심리학
2015.10.19
지체가 생겨 최대 25분에 이른다. 다만 무중력의 환경은 구현하지 못했다. 낮과 밤의
신호
가 없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24시간을 주기를 유지한다(매일 오전 8시에 아침식사). 또 지구에서처럼 5일을 일하고 이틀을 쉰다. 2013년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는 미션이 수행되는 동안 대원들의 ... ...
스마트폰으로 수소 누출 감지한다
2015.10.19
개발했다. 센서가 수소를 감지하면 팔라듐이 팽창하면서 틈이 채워지고 3~4초 만에 전기
신호
를 보내 수소가 유입됐다는 사실을 알리는 식이다. 특히 이 센서는 기존 센서보다 감도가 수천 배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유연한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실험복이나 작업복 등 웨어러블 소재에 ... ...
뇌처럼 작동하는 ‘삼차원’ 반도체칩 개발
2015.10.19
면적을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연산을 수행하는 반도체 회로 위에
신호
의 경로를 조절하는 나노기계 회로를 올리는 방식으로 삼차원 인공지능 반도체칩을 개발했다. 이 칩은 기존 인공지능 반도체칩보다 면적을 5분의 1만 차지하고 절반 이하의 낮은 에너지로도 비슷한 기능을 ... ...
‘톡톡’과 ‘꾹꾹’ 압력 차이 구분하는 인공 피부 나왔다
2015.10.18
12월 김대형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팀은 ‘스마트 인공피부’를 개발해 촉각
신호
를 생쥐의 뇌에 전달하는 데 성공했다. 올해 8월에는 조영호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팀이 스트레스를 감지하는 전자피부를 개발했다. ... ...
150km 강속구, 두산 타자는 조상우를 어떻게 공략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5.10.15
뇌가 팔에 움직일지 말지 결정하도록 명령을 내리데 걸리는 시간은 약 0.01초가 걸립니다.
신호
가 전달되는 시간까지 생각을 하면 타자는 0.25초 동안 투수가 던지는 공을 판단하고, 휘두를지 말지 결정을 해야 하는 겁니다.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베테랑 타자는 노리고 들어간다 0.2 ... ...
쉬지 않고 움직이는 소장, 어떻게 사진 찍을까
2015.10.14
살폈다. 현미경의 렌즈를 통해 레이저를 소장에 쪼인 뒤 형광물질에서 발생하는 형광
신호
를 다시 받아 영상화하는 식이다. 그 결과 지방산이 흡수되는 과정에서 암죽관이 일정한 주기로 수축하고 이완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또 이때 암죽관의 수축 정도가 클수록 지방 흡수 속도가 빨라진다는 ... ...
“발암물질 공격 막아라” 세포의 반응 한 눈에 살핀다
2015.10.13
내용을 신속하게 검출하여 그 특성을 알아내는 데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생기는 세포
신호
전달과정 등 다양한 세포반응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돼 암의 진행현상 등도 들여다 볼 수 있게 됐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이번 연구로 발암물질로 인한 질병발생 위험도나 항암제 투여 효과 ... ...
오재원과 서건창, 두산과 넥센 벤치 클리어링이 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5.10.12
때 ‘대세’와 다르다면 뇌가 ‘네가 잘못 판단을 했을 테니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라’고
신호
를 보내는 거지요. 벤치 클리어링 같은 일촉즉발의 상황이라면 한 번 더 생각해 보기 보단 주변을 따라 하는 것이 빠릅니다. 실제로 같은 팀 선수 편도 들어줘야 하고요. ☞모두가 ‘예’ 할 때 ... ...
대마초의 과학
2015.10.12
receptor type 1)이라고 명명된 이 수용체의 존재는 우리 몸에서 카나비노이드와 비슷한
신호
분자를 만들고 있음을 강력하게 시사했다. 마리화나를 피울 때 쾌감을 전달하는 게 존재 이유가 아니라는 말이다. 마치 모르핀이 결합하는 수용체가 원래는 우리 몸이 만드는 엔돌핀 같은 내인성모르핀의 ... ...
아이폰과 영화 ‘터미네이터’의 공통점
2015.10.11
기술도 등장했다. 조셉 데시몬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팀은 액체물질에 전기
신호
를 가해 순식간에 복잡한 형태의 고체물질로 재구성 해 내는 ‘클립’ 이란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하고 3월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논문을 발표했다. 이 기술을 쓰면 기존 3D 프린터로 3~11시간 걸리는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