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뉴스
"
위치
"(으)로 총 5,276건 검색되었습니다.
교통 체증이 알레르기 심하게 만든다
과학동아
l
2019.01.03
형광 염료를 묻힌 돼지풀 씨앗 100개를 도로변에 올려두고 48시간 뒤 자외선램프로
위치
를 확인했다. 그 결과 교통량이 많은 도로변에 뿌려진 돼지풀 씨앗은 교통량이 적은 도로보다 최대 71m 멀리 흩어졌다. 야생에서는 돼지풀 씨앗이 반경 1m 내에서만 확산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외래종 ... ...
“우주에서 떨어지는 ‘초고에너지 우주선’ 기원은 거대질량블랙홀”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3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들 은하의 중심부에
위치
한, 태양보다 수백만~수백억 배 무거운 거대질량블랙홀에서 초고에너지 우주선이 태어난다고 추정했다. 기존 이론에서는 초고에너지 우주선의 기원을 크게 두 가지로 봤다. 하나는 우주의 구성 물질 중 ... ...
“실생활 활용하는 고난도 AI 겨룬다” R&D그랜드 챌린지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2
학습과 협업 등 차세대 AI 기술을 겨루게 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재난 상황을 인지해 위성
위치
확인시스템(GPS) 도움 없이 목표 지점에 가서 구조요청을 감지하고, 상대를 파악한 뒤 필요한 구호 조치를 취한 뒤 인간 또는 다른 로봇과 협업해 인명을 구출하는 식이다. 대회 신청은 컴퓨터로만 ... ...
'올해의 KAIST인'에 이정호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1.02
‘네이처 메디슨’에 소개했다. 악성 뇌종양(암)인 교모세포종 돌연변이가 종양이 있는
위치
에서 멀리 떨어진 뇌실하영역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지난 8월 소개했다. 그는 난치성 뇌질환 신약개발 바이오벤처 회사인 ‘소바젠’을 설립해 난치성 ... ...
뉴호라이즌스號 새해 이벤트 마치고 먼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1
295년 주기로 공전하고 있다. 지구에서는 약 65억㎞, 명왕성에서 약 16억㎞나 떨어진 곳에
위치
한다. NASA측은 울티마 툴레를 근접비행하는 뉴호라이즌스호의 자료로 확인할 수준의 관측 데이터를 수신하기까지 약 1~2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NASA는 오는 2일과 3일 오후 두 번에 걸쳐 그 관측 ... ...
뉴호라이즌스號, 새해 첫날 태양계 가장 바깥에서 '플라이 바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1.01
예정이다.-미국항공우주국 제공 과학자들은 수년에서 수십 년에 한 번 있는 행성들의
위치
조합을 찾아 최소한의 연료로 우주를 탐사하는 방법을 짜고 있다. NASA가 1977년 발사해 지금은 태양계를 벗어난 보이저 1호와 2호, 토성탐사를 위해 지난 1998년 발사됐던 카시니호도 플라이바이를 이용해 ... ...
달 뒷면 착륙, 인공혈액 수혈… 새해 인류의 새 도전이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31
일 사상 최초로 지구에서 보이지 않는 달 뒷면에 착륙을 시도한다. 남극 에이트켄 분지에
위치
한 본 카르만 크레이터에 착륙해 달 토양에 애기장대 같은 식물을 키우는 온실 실험도 최초로 수행할 예정이다. 미국 국립과학재단과 영국 자연환경연구회는 기후변화 연구를 위해 남극 대륙 5대 빙하 중 ... ...
인도네시아 쓰나미 "화산폭발 따른 대형 산사태가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18.12.28
갈수록 수m까지 올라가는 것이 일반적인 특성이다. 이번 쓰나미는 해안과 너무 가까운
위치
에서 발생해 예측에 더 큰 어려움이 있었다. 높은 파도는 해안가의 모든 것을 쓸어버린다. 파도의 높이는 지형에 따라 훨씬 더 높아지기도 하는데 해안선이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에서 이 경향이 뚜렷하다. ... ...
국산 3000t급 잠수함 저소음 설계기술, 기계연 최우수연구성과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8.12.27
소음은 잠수함의 전투력과 직결되는 핵심 사안이다. 소음이 크면 그만큼 적에게
위치
가 노출되기 쉽기 때문이다. 한국기계연구원은 27일 올해 최우수 연구로 김봉기 기계시스템안전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의 ‘잠수함 소음 해석·평가 및 저소음 설계 기술’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바닷속에서 ... ...
스티븐 호킹부터 버턴 릭터까지…2018년 별이 된 물리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7
7월 타계한 버턴 릭터 미국 스탠퍼드선형가속기센터 소장은 1974년 11월, 미국 뉴욕에
위치
한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의 사무엘 팅 연구원과 마주 앉아 서로의 연구 성과를 소개하다 놀랐다. 5000㎞를 사이에 두고 완전히 똑같은 현상을 발견했던 것이다. 입자물리학에서 우주를 구성하는 입자로 꼽는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