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즉시
당장에
바로
직접
d라이브러리
"
곧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발명가를 끝없이 유혹한다 영구기관은 영원히 불가능?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과학자 레오나르도 다빈치(1452~1519)도 수차와 양수장치를 결합한 영구기관을 고안했으나
곧
이것이 실현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렇다면 수백년 동안 수많은 발명가들이 쏟은 '덧없는 노력'은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이에 대해 특허 관계자들은 이들이 남을 속이려는 생각은 털끝만큼도 가지고 ... ...
달력이 탄생되기 까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회교도들은 종교에 지배되는 다른 종교신자들과 마찬가지로 달의 신비스러운 변화를
곧
신의 계시로 여기기까지 했다. 성스러운 예식인 라마단의 단식은 초생달이 뜨면서 시작되었고 초생달과 함께 끝을 맺었는데, 초생달은 달력전체의 표준점 역할을 담당했다. 회교도들은 달의 주기에 따라 신이 ... ...
1천여점의 유물도 찾아냈어요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여객기의 경우 처럼 '칵피트'는 찾을 수 있겠네요. "그렇게 생각합니다. 우리가 나선다면
곧
찾아낼수 있읍니다. '쥘 베른느'의 '네모' 선장이 만능이었듯이 자기가 속해있는 '이프레메르'연구소의 능력을 신뢰하고 있었다. 세계에서 으뜸이라는 자부심에 넘쳐 있는듯했다. -자랑스런 '이프레메르'에 ... ...
이상한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혈액이 흐르는 몸의 다른 부분은 온도가 올라도
곧
식지만, 안구속의 수정체에는 혈액이 흐르지 않아 쉽게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이다. 한 연구에 의하면 얼굴에서 5cm 떨어진 곳에 휴대용 무전기를 댔을 때 2백MHz일 경우 0.4℃, 1천MHz일 때는 1.1℃나 상승시킨다고 한다. ... ...
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21세기의 초, 2020년경에는20세기부터 추진해온 우주정거장이 실용화할것으로 보인다. 우주산업이 돈만 많이들고 실속은 적은것같다는 일반의 의구가 크게봐 ... 받게된다. 가장 심한 변화는 위장에서 생긴다. 그러나 '메타클로르 플라미드'같은 약이
곧
위장의 기능을 정상화 시켜 줄 것이다 ... ...
한국과학기술대학 과학영재의 산실로 뿌리내리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특유의 컴퓨터 및 로봇 관련서클도 다수 존재한다. 또한 학보사도 새로 구성돼
곧
출범할 예정이다. 학생들 모두는 대학을 스스로 창조해 나간다는 기분으로 학과 외의 모든 행사에 적극적이다. 우리나라에서 과학을 함부로 다루지는 않을 것 같아 과학기술대를 택했다는자연과학부 1년생 ... ...
황금과 불로장생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납과 주석을 녹이고 거기에 콩알만한 약을 넣고서 쇠젓가락으로 저으니, 납과 주석이
곧
은으로 변했다는것. 그리고 빨갛게 달군 철통에 또 다른 콩알만한 약과 은을 넣고 밀봉한 후 열어보니 금으로 변해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콩알만한 약'은 서양 연금술에서 나오는 '철학자의 돌'과 ... ...
실용성있는 전기보트 등장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전기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전기보트가 등장 했던것은 금세기초의 일이다. 그러나
곧
자취를 감추게 됐는데 그것은 배터리나 모터가 너무 무겁고 에너지 소모가 많아 운항 ... 않고 진동이 없으며 또 무엇보다 소음이 아주 적어 이상적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회사는
곧
대량생산을 할 ... ...
정지위성발사에 성공한 중공의 우주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핵탄두를 적재하면
곧
핵 미사일이 되며 통신위성을 정지궤도에 올렸다는 뜻은
곧
대륙간 미사일(ICBM)을 개발 협상 테이블에 참가 시켜야한다는 것이다. 그만큼의 발언권이 중공에 주어졌다는 셈이 되니까 서방측의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인공위성에 실린 센서(sensor)가 ... ...
학문의 길로 가고 싶은데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가난한데 어떻게 해야할지 망설여진다. 답 대부분 가난한 집안의 학생들이 대학졸업후
곧
취직을 한다. 학생같은 경우라면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이 집안의 부담을 덜어주는 길이 된다. 각 대학이 아주 우수한 학생에게 장학금을 주는 것은 잘 알 것이다. 또 과학기술대에 입학하면 돈걱정은 별로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