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짓말 탐지 MRI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다. 따라서 뇌공학자들은 사람마다 진실을 말할 때와 거짓말을 말할 때 뇌의 어떤
부분
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기준을 세운 후 측정하기로 했다.방법은 간단하다. 대상자에게 미리 답을 주고 질문을 한다. 한 번은 답을 말하게 하고, 다른 한 번은 거짓말을 하게 하는데, 이때 뇌 반응 지도를 미리 ... ...
당당하게 자신을 드러내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당황하지 않고 저는 이렇게 이해했는데 뭐가 틀린 건지 물었죠. 그리고 제 책에 틀린
부분
을 표시해서 가르쳐 달라고 이야기 했어요. ‘나중에 교수님께 더 잘 배우겠다’고 했더니 교수님이 ‘나중에?’라며 웃었죠.”지구를 걱정하던 아이호기심이 많은 하연 양은 꿈도 많았다. 기상청에서 일하고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만드는 데 성공했다. 실제 뇌에서 사고 활동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다. 2011년에는 이런
부분
100개에 해당하는 뉴런 100만 개로 이뤄진 회로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2014년에는 뉴런을 1억 개까지 늘려 쥐의 뇌 전체를 시뮬레이션할 계획이다.연구팀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사람의 뇌를 연구하기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이 방법을 최초로 시도한 과학자다. 그는 나이가 들면서 정력이 감퇴하는 이유가
부분
적으로 고환의 기능이 약해져서라고 믿었다. 어린 나이에 거세한 내시나 자주 자위행위를 하는 사람에게도 같은 증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환이 핏속으로 어떤 특별한 물질을 내보내 신체에 활력을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줄이려면 뾰족한
부분
과 능선이 더 많이 생겨나야 한다. 에너지가 집중되어 있는 등선
부분
이 더 짧게 접혀야 하는 것이다. 문제는 종이를 접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 일반적으로 종이는 반으로 계속 접었을 때 7번까지만 접을 수 있다고 한다. 그 이상은 어마어마하게 세게 눌러야 한다.2007년 미국의 ... ...
나는 왜 빛이 있는지 알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올라가는데, 이런 고온의 환경에선 어떤 일이 일어날까. 고온 상태에선 태양의 대
부분
을 차지하는 수소가 이온으로 바뀐다. 즉, 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되는 것이다. 그런데 우주에서 가장 가벼운 원자인 수소의 원자핵은 모두 양극의 전하를 띠므로 자석의 같은 극처럼 서로 밀어낸다. 이대로라면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배반포(포배) 단계까지 발생시킨 후, 배반포의 내부에 들어 있으면서 장차 태아로 발생할
부분
인 내세포괴만을 채취해 적절한 조건으로 배양시키면 환자맞춤형 배아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다.Q31)• 누가: 마틴 에번스 교수가• 언제: 1978년에 (실제 생쥐 배아줄기세포가 만들어진 것은 1981년)• ... ...
Part5. 이사하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묵묵히 보다가 말했다.“알아요. 인공 뇌죠. 저기 있는 건 인공 몸이고요. 세포 단계에서
부분
을 따로 배양해서 합치죠. 자라기도 하고 늙기도 하고 죽기도 해요. 살아 있는 건 아니지만 무생물이라고 보기에도 애매하죠. 보아하니 본인 세포를 쓴 것 같네요.”“나는 오늘 여기로 옮겨 갈 거야 ... ...
Part3. 별 걸 다 맡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가스 착색판을 이용해 양말의 고린내를 모았다. 연구 결과, 발 냄새를 내는 화학물질은 대
부분
짧은 사슬 지방산이었다. 특이한 점은 발냄새가 심한 사람들의 양말에서만 이소발레르산이라는 물질이 발견됐다. 발바닥에 사는 세균이 신발 속의 밀폐된 공간에서 땀과 각질을 분해하면서 ... ...
나는 왜 오빠 냄새가 좋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분해될 때 만들어지는 물질로, 남성의 체취에서 큰
부분
을 차지하는 성분이다. 아직 사람의 안드로스테논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알지 못하지만 돼지의 경우, 암컷의 성욕을 자극하는 강력한 성적 신호 물질이다. 이 연구 결과는 2007년 9월 27일 ‘네이처’에 실렸다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