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나, 둘, 셋, 찰칵~! 내 손으로 만든 사진기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8호
- 1 안쪽을 검게 칠한 상자의 전개도를 준비한다. 2 상자 모양으로 잘 접고 모서리에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모서리에 검은 테이프를 붙인다. 3 볼펜을 이용해 바늘구멍을 뚫는다. 바늘구멍이 커지면 사진의 초점이 흐려지니 작게 뚫는다. 4 암실에서 필름을 넣은 다음 플래시를 터뜨려 촬영을 한다 ...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보너스 화보 2007년의 특이한 신종 생물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7호
- 독 있다고!지네의 친척인 노래기는 모양이나 색이 다양하다. 하지만 이처럼 선명한 분홍빛을 뽐내고 있는 노래기는 없었다. 아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이 노래기를 발견한 과학자는 분홍색 몸으로 자신에게 독이 있음을 광고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의견을 밝혔다. 나는야 미쉐린맨~호주 ...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7호
- 살지 못해. 주로 작은 어류나 곤충, 양서류, 갑각류 등이 살지. 동굴에서만 사는 생물은 빛이 없는 환경에 적응해 눈이 없거나 매우 작은 경우가 많아. 대신에 더듬이나 다리가 길어서 감각기관의 역할을 하지. 또한 적은 산소와 먹이로도 생존할 수 있도록 특이한 소화 기관과 호흡 기관을 갖고 ... ...
- 월•E 가 밝히는 지구의 미래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5호
- 년 동안 탐사를 계속할 것이라고 한다. 메신저는 수성을 탐사하는 로봇으로, 수성은 태양빛을 받는 부분의 온도가 340℃가 넘는 뜨거운 행성이다. 즉 인간은 가까이 다가갈 수도 없는 곳이다. 메신저는 지난 1월 수성에서 200㎞ 떨어진 곳에서 비행하는 데 성공해 수성에 대한 자료를 지구로 계속 ... ...
- 우주복 패션쇼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4호
- 우주복은 우주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진화를 거듭했단다. 1960년대의 번쩍이는 은빛 우주복부터 오늘날 우주왕복선의 오렌지색 우주복까지 다양한 우주복이나왔어.우주복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 여러 가지 첨단 기능을 갖춘 아폴로우주복의 무게는 생명유지장치까지 총 140㎏! 이걸 입고 어떻게 ... ...
- 뻘뻘~ 비석이 땀을 흘린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4호
- 표충비의 온도가 훨씬 더 떨어질 수 있었던 거죠.”이제야 비명대사의 얼굴에 의심의 빛이 사라진다.“사실 표충비뿐만 아니라 같은 지역에 있는 비슷한 재질, 크기를 가진 송계공 신씨 유적비도 같은 이유로 땀을 흘리고 있답니다.”“아항~, 비각이 비석에 닿는 직사광선을 막아 온도를 낮춰 주고, ... ...
- 자연의 오선지 위에 그린 초록 교향악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3호
- 우아한 악기나 악보 위의 음악 기호처럼 보이기도 해요. 자연이라는 오선지에 그린 초록빛 교향악. 양치식물의 합주를 들어 보세요.1악장 노래하듯이~Adagio cantabile~와! 양치식물의 새싹이에요. 바이올린의 머리 부분 같기도 하고 여러 가지 관악기나 타악기가 생각나기도 해요. 어린 양치식물은 ... ...
- 바다영웅 전설, 우리 바다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3호
- 있었기 때문에 아저씨가 무사히 헬기를 타고 병원에 갈 수있었단다.또한 여기는 밤에 불빛이 없어 고깃배들이 길을 잃기 쉬웠어. 하지만 내가 등대 역할을 해서 이 근처를 지나는 약 30만 척의 고깃배가 무사히 집으로 돌아 갈 수 있게 됐단다.바다를 통과하는 오염물질, 거기 서!이어도는 황사가 ... ...
- 백설공주 중독 사건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3호
- 많지? 보통은 과육을 다 먹고 씨만 남지 않나?”그 순간 닥터고글의 머릿속에서 빛이 번득인다.큰 소리로 외치는 닥터고글.“알았어요! 범인은 바로 이 안에 있습니다! 범인은 바로….”모두 침을 꿀꺽 삼키며 닥터고글의 손가락 끝을 바라본다. 그런데 닥터고글이 가리킨 건 바로 백설공주가 아닌가 ... ...
- 길 위의 공포, 로드킬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2호
- 동물은 색을 구분하지 못하고 밝기만 구분하기 때문에 갑자기 너무 밝은 자동차 전조등 빛이 눈에 비치면 순간적으로 시야가 마비된다. 그래서 도로 위에서 자동차를 만난 동물은 당황해 그 자리에 꼼짝 못하고 멈춰 서 있다 사고를 당하는 것이다. 동물 보호작전 1이런~! 삵의 이야기를 들어 보니 ... ...
이전3003013023033043053063073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