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법 같은 제2의 양자혁명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여기서 한 가지 오해하지 말아야 하는 점이 있다. 양자얽힘의 상관관계를 이용하더라도 빛보다 빠른 속도로 정보를 전달할 수는 없다. 양쪽의 측정 결과는 실험자가 의도한 대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어서 원하는 정보를 다른 쪽에 보낼 수는 없다. 나중에 측정결과를 서로 비교해보면 상관관계를 갖고 ... ...
- 2020년 한국판 아이언맨 나온다과학동아 l2008년 10호
- 무게 때문에 상용화에는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여기서 나노기술이 빛을 발한다. 나노섬유를 사용하면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방탄 성능은 향상시킬 수 있다. 가령 나노 자성체 물질 같은 유·무기 나노입자가 들어 있는 복합소재를 사용하면 평소에는 부드럽게 휘어져 편하게 ... ...
- 피아노 건반을 사랑한 물리학자 김지수과학동아 l2008년 10호
- 패널을 만들죠.”즉 먼저 기판 전체에 검은색 안료를 바르고 패턴에 해당하는 부분에 빛을 쪼여주면 기판과 안료가 화학결합을 한다. 그 뒤 용매로 씻어내면 검은색 창틀 같은 패턴이 남는다. 그 뒤 빨간색 안료를 바르고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녹색, 파란색도 마찬가지다.이런 식으로 4번에 걸쳐 ... ...
- 통합교과 지식이 핵심 열쇠과학동아 l2008년 10호
- 물리가 결합된 문제가 1문항이다. 물리의 경우 운동량과 충격량, 파동, 전기(교류), 빛과 물질의 이중성 등 전 영역에서 고르게 출제된다. 반면 화학과 생물은 제한된 영역에서 출제되고 있다. 화학의 경우 표면장력을 포함한 분자간 인력(친수성, 친유성)에 대한 문제가 최근 3번이나 출제됐으며 ... ...
- [천문]거대한 두 은하단의 합병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존재가 처음 알려졌지만 아직까지 정체가 베일에 싸여 있다. 질량을 갖고 있지만 어떤 빛도 내지 않아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MACS J0025.4-1222이라 불리는 이 은하단은 질량이 각각 태양의 1000조 배에 이르는 작은 은하단 2개가 충돌하며 합쳐졌다. 두 은하단이 시속 수백만km로 충돌할 때 두 은하단을 ... ...
- 자연 속 하이테크놀러지 새 둥지과학동아 l2008년 10호
- 법칙이 있다. 자연의 시계는 절대로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새는 적당한 온도와 습도, 빛의 양 같은 자연조건이 갖춰지면 언제든지 깨어난다. 새는 본능으로 그걸 알지만, 그런 능력이 없는 사람이 이런 장면을 지켜보려면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야생에 내일은 없다. 다만 순간만이 존재할 뿐이다. ... ...
- 필요에 따라 썼다 지우는 워터마크과학동아 l2008년 10호
- 보호하기 위한 디지털 워터마크도 개발한다. 원래 워터마크는 지폐의 위조를 막기 위해 빛에 비췄을 때 나타나는 숨겨진 그림이다. 디지털 워터마크는 불법복제를 방지할 뿐 아니라 전자제품의 일련번호처럼 ‘진품’을 보증하고 저작권자의 정보와 출처에 대한 정보도 담을 수 있다. 콘텐츠마다 ...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양자‘상태’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정보 자체가 전달됐다는 말은 아니다. 정보를 빛보다 빨리 전달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만약 그렇다면 우리는 지금쯤 물체를 순간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내가 지금 눈 깜짝할 사이에 당신 옆자리로 갈 수도 있다(웃음). 하지만 아직 그건 불가능하다. ... ...
- 디지털이 연출한 예술 혁명과학동아 l2008년 10호
- 보여주는 작품. 온도감지카메라로 촬영된 관람객의 영상이 비춰지고 접근정도에 따라 빛과 소리의 강도가 달라진다.2 강아지 마을 라이트젯 프린트, 2008, 원성원같은 장소에서 여러 시간에 걸쳐 벌어진 일들을 사진 한 장에 담아 시간을 공간에 압축했다. 이렇게 개가 많은 동네가 실제로 있다면 개 ... ...
- 밤하늘에 꼭꼭 감춰진 보물, ‘딥스카이’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이미지로 열화노이즈같은 것을 빼주는데 사용을 하며, ‘Flat Frame'은 망원렌즈 앞에 빛이 고르게 들어 올 때 촬영하여 비네팅과 먼지 등을 빼줄 때 사용한다. ‘Flat Frame' 촬영 시 카메라를 회전시키면 안 된다. 회전하게 되면 비네팅 부분이 달라지기 때문이다.조리개를 조여도 밝은 별 주변에 ... ...
이전3043053063073083093103113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