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전! 반려동물] 앵무새 자꾸 새장에 머리를 박아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외출이 잦다면 여러 마리의 앵무새를 함께 키우는 것이 좋아요. 앵무새는 하루 중 많은 시간을 혼자 지내면 우울하거든요. 증상이 심해지면 스스로 자기 깃털을 뽑는 등 자해행동을 할 수도 있답니다.반려조는 손바닥만 한 크기의 사랑앵무나 모란앵무부터 몸 길이가 팔뚝 정도인 아마존앵무까지 ... ...
- 세계 곳곳의 이색 공항! BEST4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조수간만의 차이로 모래사장이 사라졌다 나타났다 하기 때문에, 이착륙할 수 있는 시간이 정해져 있답니다. 비행기와 자동차가 십자 교차로를 질주한다! 영국 지브롤터 공항스페인 남쪽, 영국령에 속하는 지브롤터에는 독특한 공항을 볼 수 있어요. 활주로와 도로가 ‘+’ 모양으로 서로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장애물을 제거하고 나면 물을 뿜어서 바다 밑바닥을 판 뒤 케이블을 설치하지요. 한 시간에 약 200m의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답니다. 원격 조종 수중 로봇은 케이블이 고장 났을 경우에도 큰 역할을 해요. 로봇이 전파를 이용해 끊어진 위치를 찾고, 고장 난 케이블을 잘라 배로 운반해요. 그러면 ... ...
- Part 5. 다이아몬드 합성 공장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조건과 비슷하지요. 어른 주먹만 한 크기의 흑연 덩어리(셀)를 기계에 넣으면, 1~2시간이 지나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진답니다. 흑연이 높은 온도와 압력 때문에 다이아몬드로 변하는 거예요.” 다른 방에서는 합성이 끝난 인공 다이아몬드를 볼 수 있었어요. 작은 알갱이들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니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 제주도에서 만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등지느러미 모양을 비교해서 120마리에 이르는 돌고래를 구분할 수 있다고 해요. 매일 몇 시간씩 수년 간 돌고래를 관찰한 결과지요.남방큰돌고래 무리를 발견한 이후부터는 이를 천천히 따라다니며 돌고래의 행동을 꼼꼼히 기록했어요. 이 기록들이 모이면 남방큰돌고래의 습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 ...
- Part 4. 다이아몬드, 인공적으로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자라지요. 지난 5월 영국 카디프대학교의 올리버 윌리엄스 교수는 이 방법을 사용해 시간당 0.006mm의 속도로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했어요. 윌리엄스 교수는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일주일 만에 보석으로 쓸 수 있는 1캐럿짜리 다이아몬드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답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거대 로봇 대결 창시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열린 전시회 ‘2018 로보유니버스&K-드론, VR서밋’의 강연 프로그램 중 하나였지요.강연 시간에 맞춰 미국 거대로봇 제작사 ‘메가봇’의 공동설립자 맷 올레인과 중국 거대로봇 제작사 ‘몽키 킹’의 대표 스치엔 순, 또 다른 중국 거대로봇 제작사 ‘퓨처 와이즈’의 대표 레이 한이 강연장으로 ... ...
- [통합과학 교과서] 공포의 파도, 이안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셋은 꺼져가는 불씨를 입으로 후후 불어 다시 살려냈어요.“저희가 얻은 아이템은 시간과 공간, 크기 중 어떤 능력을 가졌나요?”“채윤이가 마음이 급하구나. 아이템의 능력을 바로 알 순 없단다. 하지만 곧 정체가 밝혀질 거야.지금은 다음 수수께끼를 푸는 데 집중하자.”갑자기 강한 소용돌이가 ... ...
- [가상인터뷰] 하마의 똥, 아프리카의 강을 오염시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대표적인 동물로, 사하라 사막 남쪽의 강과 호수, 늪에 살지. 우리는 물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초식동물이야. 20~30마리가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데 낮에는 물속에서 햇빛과 열기를 피하고, 밤에는 땅 위로 올라와 주변의 풀을 뜯지. 하지만 초식동물임에도 천적이 거의 없어. 육상 동물 중에서는 ... ...
- [현장취재 2] 첨벙첨벙! 갑천에 민물고기 탐사대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하천 바닥을 쓸 듯 첨벙거리며 수풀 쪽으로 물고기를 몰아 채집했지요. 1시간 여의 탐사 시간 동안 약 11종의 어류를 만났어요. 연구원들은 채집한 물고기를 수조에 담아 각각의 이름과 생태에 대해 알려줬지요. “우리 주변의 작은 하천에도 이렇게 많은 어류가 살고 있어요. 안타깝게도 하천 ... ...
이전3003013023033043053063073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