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2] 첨벙첨벙! 갑천에 민물고기 탐사대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하천 바닥을 쓸 듯 첨벙거리며 수풀 쪽으로 물고기를 몰아 채집했지요. 1시간 여의 탐사 시간 동안 약 11종의 어류를 만났어요. 연구원들은 채집한 물고기를 수조에 담아 각각의 이름과 생태에 대해 알려줬지요. “우리 주변의 작은 하천에도 이렇게 많은 어류가 살고 있어요. 안타깝게도 하천 ... ...
- [해외취재] 아리안5에서 엑소마스까지…. 유럽 우주 개발 현장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수증기를 만난 뒤전송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에요. 또 GPS 위성과 정보를 받는 수신기의 시간이 맞지 않는 경우에도 최대 수십 m의 오차가 생긴답니다. 반면 위성기반 보강항법시스템은 지상국에서 받은 GPS 정보를 계산해 오차를 줄이고, 이 정보를 정지궤도위성으로 쏘아 올려요. 이후 이 정보를 ... ...
- [시사과학 뉴스] 선크림 어떻게 자외선 차단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즉 450분 동안 자외선B를 차단하지요. 따라서 야외활동을 오래 할 경우, SPF수치에 따라 몇 시간에 한번씩 자외선 차단제를 덧바르는 것이 중요해요. 또 물에 젖으면 자외선 차단 기능이 떨어져요. 따라서 방수 기능이 있는 차단제라도 물놀이를 하거나 땀을 많이 흘릴 땐 40분마다 덧바르는 것이 ... ...
- [현장취재 1] 2018 첫 특별탐사, 나무를 톡톡 치자 하늘소가 툭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연구실 이승현 연구원과 호서대학교 생명과학과 최웅 연구원이 었지요. 이들은 한 시간 가량 강원도 홍천 내린천 주변의 작은 산을 올랐어요.“찾았다!”30분 정도 산을 올랐을 때쯤, 골드사이언스팀 서우 대원의 반가운 목소리가 들렸어요. 이승현 연구원은 서우 대원이 잡은 하늘소를 자세히 ... ...
- [실전! 반려동물] 반려견 여행 과 함께 을 떠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출발시켜 5분 정도 도로에 다녀오세요. 이런 과정을 매일 조금씩 반복하며 점차 차량 운행시간을 늘리면 된답니다.그래도 반려견이 멀미 증상을 보이면 담당 수의사를 찾아 약을 처방 받는 것이 좋아요. 사람이 먹는 멀미약은 용량과 성분이 다르므로 반려견에게 먹이면 안 된답니다. 더운 날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표시해요. 31분, 32분, 이렇게 구분해 표시하지요. 반면 아날로그 시계는 바늘이 있어 시간을 연속적으로 표시해요. 아날로그 시계의 바늘은 31분과 32분 사이에 있을 수 있답니다 ... ...
- [핫이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8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등 각 분야의 전문 연구원들과 함께 탐사하며 다양한 생물종을 관찰할 수 있었어요. 24시간의 탐사 결과 확인한 생물종은 모두 1368종! 관속식물이 607종으로 가장 많았고, 곤충 514종, 거미 47종 등이 뒤를 이었답니다. 이번 바이오블리츠에 참가한 이우혁 대원은 “바이오블리츠를 통해 내 주변에 ... ...
- Intro. 과학으로 통일을 준비한다! 반달가슴곰의 팩트체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안녕? 난 비무장지대 ‘DMZ’에 살고 있는 반달가슴곰이야. 최근, 남한과 북한의 사이가 좋아지고 있어서 어쩌면 가까운 미래에 한반도의 백두대간이 이어질 수도 있다고 들었어. 그럼 지리산에 사는 반달가슴곰과 백두산호랑이가 만날 수도 있대. 통일을 위해 과학자들도 준비 중이라던데…. 진짜 ... ...
-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와, 비핵화 계획대로 핵무기가 개발되지 않는다면 정말 좋겠어! 그런데 핵무기만큼 무시무시한 소문이 또 있어. 갑자기 남북한 사람들이 교류하기 시작하면 심각한 질환이 유행할 수 있다나 뭐라나. 이게 무슨 말이지? 북한에선 세균성 질환이, 남한에선 바이러스성 질환이!“결핵 치료약 지원을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대역폭 등이 완전히 다르다. 해양탑재체는 13가지 가시광선, 적외선 채널을 이용해 노출 시간을 길게 두고 바다를 촬영한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합성해 바다의 색, 온도 등을 관측한다. 해상도가 천리안 1호보다 4배가량 높아 적조, 냉수대, 어장 환경 등을 세밀하게 관측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 ...
이전3013023033043053063073083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