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아슬아슬 전선 위의 미션 블랙아웃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피젯스피너를 돌리자, 온 세상이 갑자기 요동치기 시작했어요. 정신을 차려 보니 수호와 채윤이는 전선 위에 있었어요. 도시가 한눈에 보일 정도로 높은 곳이었지요. “헉! 우리 지금 전선 위에 있는 거야?” [스토리 따라잡기] 암흑의 비밀을 풀어라! “아이템의 능력은 크기를 조절하는 ... ...
- 점점 늘어나는 난민,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출신국을 떠난 난민은 지난해 290만 명이 늘어났어요. 유엔난민기구가 수를 파악하기 시작한 이래 가장 큰 수치예요. 이제 난민 수는 우리나라 인구 절반에 달하는 2540만 명이랍니다. 2015년, 핀란드 데이터 전문가 빌레 사리넨은 엄청난 난민 수에 비해 사람들이 심각성을 못 느낀다고 생각했어요. ... ...
- Part 3. 구름 위의 폭풍을 쫓는다! 스톰 헌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있는 유럽우주국(ESA)의 실험실 ‘콜럼버스’에 자리를 잡고 본격적으로 폭풍을 찾기 시작한 신입 폭풍 사냥꾼이지요.스페이스 스톰 헌터는 지구에서는 보기 힘든 구름 위의 폭풍을 찾아요. 구름의 수증기 분자들이 방전되면서 땅으로 번개가 치듯이, 구름 위에서도 지구 대기에 있던 기체 원자들이 ... ...
- 세계 곳곳의 이색 공항! BEST4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볼 수 있어 관광 명소가 됐지요.특히 공항 근처에 있는 마호 비치는 공항 활주로의 시작 지점과 불과 50m 떨어져 있을 정도로 가까워요. 그런데 이 공항은 활주로가 짧기 때문에 비행기가 이륙할 때 동력을 최대한으로 사용해요.그럼 제트엔진을 통해 거센 바람이 뿜어져 나와 너무 가까이 가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코딩로봇으로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라! 뚜루뚜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이제 길을 따라 목적지까지 가는 연습을 해 봐요. 격자무늬가 그려진 카드를 ‘시작’ 다음에 배치하면 선을 따라 움직일 거예요. 이때 최소한의 카드를 사용하도록 노력해 보세요!” 기자단 친구들은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어요. 불을 피해 요리조리 방향을 바꾸다 보니 카드가 ... ...
- [특별 JOB 인터뷰 1] 어리다고 얕보지 마라! 키즈 크리에이터 마이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위한 스튜디오로 변해요.기자는 거실 식탁에 마이린과 마주 앉았어요. 인터뷰를 시작하려 하자 마이린은 “먼저 양치질 좀 하겠다”며 후다닥 달려갔어요. 이럴 땐 영락없이 아이같은 마이린이 어떤 특별함을 숨기고 있을지 기자는 정말 궁금했답니다 ... ...
- [특별 JOB 인터뷰 2] 잎새에 숨겨진 표정을 찾는 사람, 식물세밀화가 이소영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우리나라에서 활동하는 식물세밀화가로, 대학에서 원예학을 전공한 후 식물을 그리기 시작했어요. 주로 연구자들이 발견하거나 길러낸 신종 식물을 그리죠. 그런데, 식물을 사진으로 찍으면 될 텐데 왜 굳이 그림으로 그릴까요? “사진으로는 식물의 특징을 정확히 표현하기 힘들어요. 예를 들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생각했어요. 그래서 이 유리 도구를 렌틸콩의 라틴어 이름인 ‘렌즈’로 부르기 시작한 것이죠. 세상에는 다양한 렌즈가 존재해요. 우리가 가장 쉽게 만나볼 수 있는 렌즈는 돋보기지요. 우주에도렌즈가 있어요. 먼 천체에서 나온 빛은 무거운 질량을 가진 천체 주변을 지나가면 휘어져요. 이런 ... ...
- Part 1. 폭풍 구름 위를 날다! 허리케인 헌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군인들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들은 기상 위성 사진에서 폭풍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다급히 기상 항공기를 타고 폭풍을 향해 날아가요. 그리곤 폭풍 구름 위로 날며 기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관측 기기 ‘드롭존데’를 구름 속으로 떨어뜨리지요. 드롭존데는 습도, 기온, 풍속 등 기상 정보를 ... ...
- Part 1. 다이아몬드는 어디서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가장 찬란하게 빛나는 모양은 ‘브릴리언트 컷’으로 가공했을 때예요. 17세기부터 시작된 이 방법은 이후 여러 학자들이 연구하며 발전했지요. 그리고 1919년, 벨기에의 보석 세공사이자 수학자였던 마르셀 톨코스키가 가장 이상적인 모양의 다이아몬드를 수학적으로 계산했어요. 다이아몬드를 총 5 ... ...
이전3003013023033043053063073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