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입니다. 그런데 빨간눈청개구리의 알은 포식자인 초록앵무뱀이 나타나 주변의 알을 먹기 시작하면 발달 속도를 정상적인 배아 발달 속도보다 30%가량 높입니다.doi:10.1016/j.anbehav.2004.09.019 발달 중인 배아가 초록앵무뱀을 볼 수 있는 것도 아닌데 놀라운 일이죠. 비밀은 초록앵무뱀이 움직일 때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영’에서 나온 거라는 소문이 있던데 진짜인가요? 솔직히 말씀드리면 취미 생활에서 시작했다는 의미의 ‘Hobby’에 존경하는 만화작가인 천계영의 ‘영’을 따서 하비영이 된 거였어요. 그런데 독자분들이 ‘합이 영’이라고 생각하시더라고요. 그게 더 멋있는 것 같아서 원래 ‘합이 영’이었던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그런 결과물을 여러 방면에서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며 “반도체 장비를 개발하는 게 시작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유학 이후 LG에서 10년 간 반도체를 연구하다가 서울대 교수로 부임했다. 공대 진학을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김 학부장은 “공학자는 세계를 선도하고 나라를 먹여 살리는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된다면 가족과 함께 만화카페 나들이도 나쁘지 않겠다. 본인이 좋아하는 주제부터 시작하는 것도 좋다. 예를 들어 축구를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유명한 축구선수의 자서전도 괜찮다. 최근에는 원작 소설을 기반으로 한 드라마도, 역으로 드라마 원작이 소설로 출간되는 일도 있다. 이런 책들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창경궁에서 만난 원앙과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먼저 우리 주변에 어떤 새가 울고 있는지 들어 볼까요?”올해 조류 탐사가 정규 탐사로 시작되며, 창경궁에서 처음으로 조류 현장교육이 열렸어요. 이날 현장교육을 진행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김윤전 연구원의 말에 지사탐 대원들은 모두 숨죽였지요. ‘삐-잇, 삐이이이익-’, ‘까아악,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안에서 지구의 위치를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케플러 이어 ‘테스’ 활동 시작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임무는 끝났지만, 외계행성 탐색은 계속된다. NASA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행성 사냥꾼으로 올해 4월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외계행성 탐색 망원경인 ‘테스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보여주는 하나의 단서이기도 하다. 이들 세 부류는 양막류라는 공통 조상에서 시작됐는데, 포유류와 파충류가 갈라져 진화하면서 케라틴의 구조 또한 다르게 진화한 것으로 추측된다. 마찬가지로 조류는 포유류보다는 파충류와 계통적으로 훨씬 가깝기 때문에 깃털, 부리 등이 베타 케라틴으로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불규칙해보이지만 이를 부분적으로 나눠보면 규칙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기 시작했다”며 “이 규칙성이 특정 색깔을 내게 하는 원천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 선임연구원이 새의 깃털 구조를 광학적으로 분석해 그 결과를 여 교수에게 보내면, 여 교수는 이를 토대로 데이터 분석을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함께 점점 기대감으로 바뀌었다. 필자는 레이저를 조작해 추간판 조직을 제거하기 시작했다. 카테터를 통해 전달된 레이저를 통해 조직이 점차 타들어 갔다. 마침내 집도가 끝나고 조직이 성공적으로 제거된 것을 확인한 연구팀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5년 간의 개발 과정, 로봇으로 척추질환을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시작될 수 있었다. 김 교수는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단일 세포 유전체 연구를 시작한 1세대 연구자 중 한 명이다. 이는 그의 독특한 이력과도 관련이 있다. 김 교수는 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하면서 복수전공으로 컴퓨터공학을 선택했고, 부전공으로 생물학까지 이수했다. 생명공학기술(BT)과 정보기술 ... ...
이전3023033043053063073083093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