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국회의원 인맥 찾아내는 소셜 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할 질문에 열심히 매달리는 과학자들이 있다. 바로 데이터를 연구하는 과학자들. 많은
양
의 복잡한 데이터도 잘만 분석하면 그 속에서 반복되는 패턴이나 네트워크를 찾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예측 모델을 덧붙이면 사람의 행동을 예상할 수 있다. 복잡한 데이터를 통해 네트워크를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개개인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정 교수는 “그래프가 그리는 ‘피크’의 모
양
을 보면 가능하다”며 “우리나라 과학논문을 이용해 비슷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단어로 질병 확산을 예측하는 연구도 있다. 2009년 초, 미국 애틀랜타 질병통제 및 예방센터의 린네트 브라머 박사와 ... ...
뚱뚱하면 뇌 줄어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허리둘레가 커질수록 뇌는 작아진다는 연구가 나왔다. 미국 뉴욕 의과대 안토니오 콘비트 교수팀은 비만이 뇌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고 ‘ ... 교수는 “이 부분의 뇌 신경세포가 적으면 같은 만족감을 느끼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양
을 먹는다”며 “비만의 악순환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
[hot science] 얼짱 몸짱 마법의 주사는 없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주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보톡스 1병에 든
양
을 100으로 봤을 때 시술에 사용하는
양
은 20~30 밖에 되지 않는다. 필러도 지나치게 넣으면 외관상 부자연스러워지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흡수돼 큰 위험이 따르지 않는다. 보톡스나 필러를 넣고 부작용을 겪는 가장 큰 이유는 가격을 낮추기 위해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400여 명의 전문연구인력을 배출했으며 31회의 국내외 워크숍을 개최하는 등 다
양
한 학술활동을 펴며 아시아권의 프로테오믹스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이곳에서 세계 공통의 프로테오믹스 교과서도 만들었다. 2003년부터 98편의 국제 표준 실험법과 국제 실험 교재 6권을 발간했다.“프로테오믹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1. 사람 눈 닮은 로봇 눈 - 생체모방 로봇 눈 개발로봇에게 사람과 똑같은 눈을 만들어 줄 수 있을까. 카메라에 쓰는 렌즈는 유리 렌즈가 앞 ... 방법에 응용한다면 파급 효과가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정 교수팀은 이렇게 배
양
한 치아와 턱뼈를 임상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수학의 즐거움 이동통신 이끌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하나의 안테나만 이용하는 것보다 여러 개의 안테나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면 더 많은
양
을 주고받을 수 있다는 겁니다. 다중안테나의 아이디어는 이미 오래 전부터 나와 있었습니다. 주파수의 간섭현상을 해결하고 안테나별로 데이터를 적절히 구분할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개발이 늦어졌습니다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대결은 프랑스의 루이 파스퇴르의 연구가 발표되면서 일단락됐다. 파스퇴르는 영
양
액을 플라스크에 넣고 플라스크의 목 부분을 가열해 길게 늘인 뒤 구부렸다. 이때 플라스크의 끝은 항상 열려있어 공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했다. 이 플라스크 용액은 공기에 노출돼 있었지만 미생물이 성장하지 ... ...
연산 정복하기 ②!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또한 ‘소금물에 관한 문제’라면 주어진 문제를 농도에 관한 식으로 세울지, 소금의
양
에 관한 식으로 세울지를 먼저 결정해야 해요. 항상 출제자가 ‘무엇’을 구하라고 했는지를 끝까지 혼동하지 않도록 하는 집중력도 필요하죠. 함정으로 파놓은, 필요 없는 정보에 낚이지 말고 숨겨진 x의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존 라뎀 박사는 2008년 영국 왕립학회에서 발간하는 ‘철학회보’에서 “구름의
양
이 현재보다 2배 많아지면 이산화탄소 농도가 2배가 되더라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특히 중요한 구름이 해안에 떠 있는 낮은 고도의 층운이다.이 구름은 입자의 밀도가 높고 반사율이 높아 효과적으로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