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어는 색맹’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망막에는 색을 구별하는 원추세포가 없었다. 나머지 7종류는 고래와 돌고래, 물개 같은 해
양
포유류처럼 파장이 긴 빛만 받아들이는 한 종류의 원추세포만 있었다. 연구팀은 수렴진화의 원리에 따라 상어도 같은 특성을 지니게 됐다고 추정하고 있다. 연구에 참여한 나단 하트 서호주대 교수는 이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쌀과 물을 넣고 버튼을 누르면 굳지 않는 떡을 만드는 ‘전기떡솥’을 상상한다. 과거 서
양
에만 있던 바게트와 타르트를 이제는 국내 빵집 어디에서나 구할 수 있듯이 떡도 조만간 전 세계에 널리 퍼질 것이다. 언제나 굳지 않는 ‘늘 말랑 떡’을 맛볼 수 있는 날이 ‘입 앞’에 성큼 다가오고 있다 ... ...
폐품으로 만든 태
양
광 로봇 쏠라 로버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발전의 효율을 높인다. 폐품을 활용해 차를 만든 점도 돋보인다. 친환경 에너지인 태
양
광을 배우면서 작게나마 환경보호를 실천할 수 있다. 캔, 우유팩, 페트병 등으로 자신만의 차를 완성해 보자. 초등학생 이상이라면 혼자서도 만들 수 있다. 지금은 친환경이 대세!최근 친환경 정책은 ... ...
퇴행성 관절염의 스위치를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연골 조직의 손상이 멈췄다.전 교수는 “히프투알파가 연골 세포를 망가뜨리는 다
양
한 단백질들을 직접 활성화시켜 퇴행성 관절염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라고 이번 연구 결과를 설명했다. 또 그는 “히프투알파 단백질의 활성을 막아 퇴행성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대결은 프랑스의 루이 파스퇴르의 연구가 발표되면서 일단락됐다. 파스퇴르는 영
양
액을 플라스크에 넣고 플라스크의 목 부분을 가열해 길게 늘인 뒤 구부렸다. 이때 플라스크의 끝은 항상 열려있어 공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했다. 이 플라스크 용액은 공기에 노출돼 있었지만 미생물이 성장하지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하기 때문에 선로를 설치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도 많이 든다. 하지만 다
양
한 우회로를 갖추고 있어서 한 노드가 고장이 나더라도 영향이 적다.이상은 컴퓨터공학에서 정보통신망을 구축할 때 쓰는 토폴로지다. 하지만 네트워크과학에서는 조금 다른 토폴로지로 인터넷을 설명한다. ... ...
태
양
이 쓰고 있는 불꽃 왕관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몇 배나 되는 거리까지 퍼져 하얗고 밝게 빛난다. 코로나의 온도는 100만K 정도로 태
양
표면 온도인 6000K도 보다 훨씬 높다. 과학자들은 어떤 기체가 대기 중으로 빠르게 발산할 때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뀐다거나 기체가 저항을 받을 때 생기는 온도 상승 등을 이유로 제시해 왔다.연구팀은 ... ...
뚱뚱하면 뇌 줄어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허리둘레가 커질수록 뇌는 작아진다는 연구가 나왔다. 미국 뉴욕 의과대 안토니오 콘비트 교수팀은 비만이 뇌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고 ‘ ... 교수는 “이 부분의 뇌 신경세포가 적으면 같은 만족감을 느끼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양
을 먹는다”며 “비만의 악순환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1. 사람 눈 닮은 로봇 눈 - 생체모방 로봇 눈 개발로봇에게 사람과 똑같은 눈을 만들어 줄 수 있을까. 카메라에 쓰는 렌즈는 유리 렌즈가 앞 ... 방법에 응용한다면 파급 효과가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정 교수팀은 이렇게 배
양
한 치아와 턱뼈를 임상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먹이로 한다. 종령 애벌레 몸 길이는 35mm 내외. 전체적으로 녹색이나 등 쪽으로 삼각형 모
양
의 갈색 무늬가 선명하다. 4쌍의 배다리와 다른 나비목 애벌레에서는 볼 수 없는 몸 끝 쪽의 돌기가 특징이다.]그림자까지 지우는 ‘투명애벌레’이보다 더 놀라운 전략이 있다. 몇몇 애벌레들은 그림자를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