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늪
연못
굳은살
징
호수
핀
머리핀
d라이브러리
"
못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질랜드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북쪽섬의 풍요함의 비밀인 것이다. 로토루아 호반에는 마치 열지옥같은 분출진흙
못
이 있고, 높이 10~30m나 열탕을 뿜어올리는 간헐천이 있으며 유황의 퇴적이 있어 옛날부터 원주민 마오리족은 불의 신이 거처하는 땅이라고 믿어왔다. 지금 이 일대는 지열발전의 메카이며 이 섬 유일의 관광 ... ...
천문학자 칼 세이건 최고의 인기, 돈, 명예…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과학자임에는 틀림없다. 과학자로서 그만큼의 설득력을 가진 사람들 나는 여태까지 보질
못
했다. 앞으로도 '세이건'만큼의 능력을 가진 '멋장이과학자'는 다시는 나타나지 않을것 같다.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과학자가 한둘쯤은 나와야 하지 않을까…?나는 그것을 젊은 세대에 기대해 본다 ... ...
일본에서 개발된 전기충격요법 색약·색맹이 치료된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6학년 1명 4학년 2명 1학년 1명으로 8월20일 경에는 치료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 그때까지
못
보던 빨강색과 초록색을 분명히 볼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이를 계기로 동아일보사 문화센터와 과학동아부를 통해 12명의 색맹자를 일본에서 무료 치료 받을 수 있게 되었다 ... ...
생산과 소비의 갈등을 해소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정보에 접근할 수가 없기 때문에 같은 시점에서 보수해야 할 시설들을 한꺼번에 하지
못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도로를 굴착할 때도 지하에 깔려있는 것들이 무엇인지 알 수가 없어 땅속을 후비다가 멀쩡한 시설을 건드려 파괴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며칠전에 포장한 도로를 전력선을 묻는다고 다시 ... ...
대기권이 파괴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하고 바랄 때가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나는 아직까지 구세주와도 같을 오류를 발견
못
하고 있다."컴퓨터 시뮬레이션이와같이 오존층이 줄어들고 있다.컴퓨터 시나리오는 태양의 강한 자외선을 막는 오존보호 우산의 구조와 두께를 나타낸다. 왼쪽위-1960년의 상태, 오른쪽위-오늘날의 상태. 아래 ... ...
수소 에너지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가려 빛을
못
보고 있었던 수소의 활용이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대체에너지의 기치 아래 첨단 신소재인 수소저장합금이 개발됨으로써 수소에너지의 본격적인 활용이 몇발자국 앞으로 다가선 것이다. 열효율이 크고 무공해이며 쉽게 전기에너지로 환원될 수 있는 무한정한 자원한 수소에너지는 ... ...
국토개발과 자연보존이 조화이루어야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이런 개발사업을 하기 전에 연구단체와 충분한 협의를 거쳤으면 좋겠는데 그렇지
못
한 형편입니다. 4대강유역개발만 해도 금강 영산강 등을 공사해나가는 도중에 조사를 의뢰해 왔어요. 공사착수전에 미리 조사의뢰가 됐어야 하는데 말입니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어떤 지역이 특히 조사연구대상 ... ...
시간과 공간의 고정관념을 타파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이 두 이론(전자기학과 중력이론)을 종합하려고 무척 애를 썼다. 그러나 시원한 결론은
못
내고 있다. 이런 종합이론을 통일장이론이라 부르고 있다. 우주론으로의 발전 일반상대성이론은 우주론과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다. 우선 아인슈타인에 의하면 만유인력은 우주내에 물질이 있기 때문에 ... ...
울릉도와 독도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특별히 보호되고 있다. 특히 섬백리향은 울릉도에만 나는 특산식물로 낮에는 향기를
못
느끼나 밤이 되면 강렬한 향기를 맡을 수 있다. 풀 전체가 우리나라의 산에 나는 백리향과 비슷하나 잎과 꽃이 큰 점이 다르다.울릉도에서 흔히 눈에 띄는 특산식물로는 섬말나리와 섬바디가 대표적이다. 이중 ... ...
이공계 대학원 교육에 대해 말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있어서, 부유한 소수만이 이길을 걷게 되고 대다수의 흥미와 능력을 지닌 자들은 엄두도
못
내는 기회의 불공평성이 과학발전의 저해를 가져온다.두번째로 진로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장학금이나 연구비는 학생시절에만 해당된다. 졸업 또는 수료를 할 경우에 장래에 대한 문제는 어느 누구도 확답을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