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매우 신성하게 여기고 있거든요. 슬픈 듯도 하고 평온한 듯도 한 부처님의 얼굴을 가만히
보고
있노라면 잔인했던 버마군의 침략마저도 용서될 것 같습니다.다음으로 가볼 곳은 왓차이와타나람입니다. 앙코르와트를 연상시키는 듯한 외양을 가진 이 사원 역시 외양과는 다르게 내부는 거의 폐허가 ... ...
Epilogue. 상대성이론 가지고 놀기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서울에서 가장 붐비는 신도림역에서 출퇴근 시간마다 환승하는 사람들이 우리 잡지를
보고
‘여기 블랙홀이 있는 것 같아’라고 느낄 수 있다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글을 읽는 독자여러분도 어려운 과학을 일상 생활의 언어로 쉽게 풀어볼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일반상대성이론 ... ...
Part 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디스플레이가 개발돼야 창문 없는 비행기가 가능합니다. 약 5년 뒤에는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어요. 그 날이 오면, 승객들은 ‘멀티플렉스 객실’에서 색다른 즐거움을 얻을 수 있을 겁니다. 엔진 효율을 더 끌어올릴 수는 없을까? 효율 90%, 프로펠러 엔진의 화려한 귀환_PROPELLER기자 : 가장 ... ...
[Hot Issue] 실감나는 영화 속 그래픽 비결은 수학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쓰이는지는 좀처럼 접할 기회가 없다.“눈의 경우, 알갱이 하나하나를 다 탄성체로
보고
계산을 합니다. 계산량이 많지만 아주 자연스럽고 실감나는 영상을 만들 수 있지요.”12월 18일 서울 용산 사이언스홀에서 열린 ‘KAIST 명강 4-수학과 IT’에서 이창옥 KAIST 수리과학과 교수가 말했다. 이 교수는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다른 생물이다.“심지어 위키백과에서도 혼동하고 있더군요. 하지만 실제로 한 번만
보고
나면 혼동할 수가 없어요. 식물인 이끼(선태류)는 세포 안에 엽록소가 있으니 녹색이 아주 진해요. 하지만 지의류는 회록색을 띠고 있어 차이가 크죠.”지의류가 선명한 녹색을 띠지 않는 이유는 한 종류의 ... ...
PART1. 일반상대성이론 낳은 ‘기적의 10년’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가속도’ 발견아인슈타인은 1907년, ‘전자공학 및 방사능 연감’에 실을 상대성원리
보고
서를 쓰는 데 두달간 매달렸다. 글을 쓰며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상대성원리가 불완전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뉴턴의 중력이론과 들어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원리를 일반화하려 시도하던 중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블랙홀의 ‘털-없음 정리’를 증명했고 블랙홀 엔트로피에 대해 이것저것 생각해
보고
있었습니다. 사실 1973년쯤에는 이전에 성공한 게 있어서 좀 빈둥 거리고 있었죠(웃음). 그때부터 양자이론을 블랙홀과 접목하는 아이디어를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박사님의 가장 유명한 업적이 거기서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썰매 경주가 벌어졌고 과학자들은 연구를 했다. 우아하고 호기심 많은 펭귄은 탐험대를
보고
도 경계심 없이 다가왔다 곧잘 일행의 스테이크가 됐다.탈출 배를 버리다 8월이 되자 심상치 않은 기운이 느껴지기 시작했다. 얼음이 배를 옥죄기 시작했다. 배가 부서져 침몰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장 ... ...
말과 코뿔소의 고향은 인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기제류의 중간 단계 동물로 밝혀졌어요. 이빨의 모양이나 엉치뼈의 개수, 발의 생김새를
보고
알아낸 것이지요. 코는 코뿔소처럼 뭉뚝하지만, 다리는 말처럼 가늘고 길다는 특징이 있지요. 또 발가락은 서로 갈라져 있었어요. 발가락 개수는 오늘날 기제류와 똑같이 홀수였답니다.멋진걸? 나와 함께 ... ...
떴다! 청소년 문화재지킴이 기자단 대한제국의 흥망성쇠를 느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관광지인 줄만 알았던 정동이 대한제국의 흥망성쇠를 그대로 간직한 근대 문화유산의
보고
라지 뭐예요? 모둠 대표가 뽑아든 미션 종이에는 ‘조선 최초의 근대식 교육기관을 찾아가라’, ‘러시아 건축가 사바틴이 설계한 서양식 근대 건축물을 찾아라’ 등 정동과 관련된 미션들 이 적혀 있었어요.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