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름밤을 흐르는 우윳빛 강물 은하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펼쳐져 있는 은하수를 볼 수 있어요! 도시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은하수와 별을 찍어 보고 싶다면 지금부터 주목하세요. 제가 비법을 알려 줄게요.카메라를 삼각대에 고정한 다음 빛이 들어오는 구멍인 조리개를 최대한 열기 위해 조리개 값(F값)은 가장 낮게 설정하고, 셔터 속도는 15~30초 정도로 ... ...
- 2014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서울 숲의 진짜 주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전문가들이 주로 진행했어. 우리 같은 학생과 일반인 참가자들도 생물을 채집통에 담아 보고할 수 있지. 하지만 우리는 각 분야별 생물종에 대한 특징을 익히고 체험하며, 생물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활동을 주로 했단다. 일반인은 생물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생물에 해를 끼치거나 채취하다 ... ...
- 달에 까만 토끼가 살고 있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불러요. 아주 오래 전에 달에 운석이 부딪히면서 생겼다고 해요. 지구 사람들은 나를 보고 여러 가지 모습을 상상했어요. 한국 사람들은 방아를 찧고 있는 토끼를, 다른 나라에서는 집게발을 든 게나 예쁜 아가씨의 모습을 상상했죠.네가 진짜 토끼가 아니었다니! 달에는 어쩌다가 너처럼 까만 점이 ... ...
- 곤충의 겹눈 내 눈은 수백에서 수만 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갈수록 더 진하게 보이는데(왼쪽), 나비와 벌도 똑같이 꿀이 많은 꽃 중앙을 더 진하게 보고 정확하게 찾아갈 수 있답니다.수많은 홑눈으로 이뤄진 겹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곤충들을 만나 보니 어떤가요? 눈이 많다고 부러워하진 마세요. 곤충에게는 곤충에게 알맞은 눈이, 사람에게는 사람에게 ... ...
- [시사] 아벨상 수상자 세머레디 교수 난제 해결의 실마리는 가벼운 문제에서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행보를 묻는 질문에, 그는 어느 때보다도 확신에 찬 눈빛으로 어린 학생들을 가르쳐 보고 싶다고 답했다. 그것도 기존의 대규모 강의 형태가 아닌 한 명씩 개인적으로 말이다. 나이가 많아 더 이상 연구의 성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소연도 했지만, 그의 수학에 대한 열정과 헌신은 아직 ... ...
- [체험] 크리스마스 장식볼 만들기 별모양 다면체수학동아 l2014년 12호
- : 그러면 별모양 다면체를 만들어서 장식해 보자. 이참에 ‘별모양화’에 대해서도 알아 보고!반짝이는 별을 닮은 다면체12월에는 많은 사람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크리스마스가 있다. 그래서 12월초부터 백화점이나 교회에서는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내기 위해 건물 외벽이나 나무에 장식을 한다.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받으면 고유한 파장의 빛을 다시 내놓는데, 우리 눈은 이렇게 다시 내놓는 파장의 빛을 보고 색을 구별하지요. 컴퓨터용 사인펜 잉크에는 컴퓨터가 감지하는 파장의 빛을 내놓는 색소가 들어 있답니다.우와! 세상에! 신기한 펜신기하고 재미있는 능력을 가진 필기구로 시험 공부를 하는 건 어때? 절대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애니메이션 중 하나예요. 다른 사람들도 저처럼 이 전시를 보고 분명 좋아할 거라고 생각했어요.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전시를 기획하는 게 제 일이니까요. 일본에서만 볼 수 있었던 스튜디오 지브리의 전시를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싶었죠.작품에는 ...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기발하고 우아한 아이디어들도 있다. 하지만 현재는 이들 모두 실현이 불가능할것으로 보고 있다.나용수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과학적으로 회의적”이라며 “주류 핵융합계에서는 아직까지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PART1. ... ...
- [과학뉴스] 전 세계 생물 3분의 1이 멸종위기!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최근 7만6199종의 생물을 평가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마구잡이로 이뤄지는 남획, 벌목, 채굴, 농업 등을 통해 2만2413종에 달하는 식물과 동물들이 곧 멸종할 위기에 처했다고 레드리스트(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 보고서)를 통해 발표했다. ...
이전3053063073083093103113123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