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3분의 2가 이곳에 와 있는 셈이다.구글에 취직하는 비결?“코딩을 이렇게 못하는 애들 사이에서 어떻게 스티브 워즈니악(애플 설립자) 같은 사람이 나오는지 궁금했어요.” UC버클리에서 여름학기 컴퓨터과학 수업을 듣는 김진우 씨를 만났다. 초등학교 때부터 컴퓨터를 만지고 자란 그에겐 의문이 ...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섭씨온도를 만든다. 1기압에서 물의 어는점을 0 ℃, 끓는점을 100 ℃로 정하고 두 기준사이를 100등분했다. 미국과 몇 개의 작은 나라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가 섭씨온도를 쓴다.하지만 온도에 대한 국제 표준 단위는 섭씨(℃)가 아니라 절대온도로 불리는 켈빈(K)이다. 절대온도가 나온 배경을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였다. 17세기 후반, 두 천재는 미적분의 모든 방법과 문제 사이의 일반적인 관계를 밝혀냈다. 미적분을 발명한 것이다.뉴턴은 1665년 10월의 마지막 날에 ‘곡선에 어떻게 접선을 그릴 것인가?’라는 짧은 연구 논문을 쓰기 시작했다. 여기에서 그는 자신의 ‘유율법’을 ... ...
- [과학뉴스] 연세대 ‘창조과학’ 강의 개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연세대 홈페이지에 올린 수업 계획서에서 “기독교인 과학자는 성경 내용과 과학 지식 사이의 갈등을 느껴본 경험이 있다. 성경 중 과학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보고 이것을 과학적 접근으로 이해하고자 한다”고 강의 취지를 밝혔다.하지만 일부 학생들이 SNS 등을 통해 문제를 제기했고, ...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중에서 지구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2004년 태양권덮개(94AU 지점, 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에 도달했으며, 2006년 8월 100AU 지점에 도달했다. 2015년 현재 지구에서 약 132AU(약 197억km) 거리를 비행하고 있다. 현재는 성간 공간 탐사임무를 하고있다. 보이저 2호 역시 1977년 발사돼 목성과 토성, ..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수 없다. 즉, 미분이 불가능하다. 미분방정식은 미지의 함수를 여러 번 미분한 도함수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방정식이기 때문에, 방정식을 풀어서 구한 원래 함수는 최소한 방정식에 제시된 만큼은 미분 가능해야 한다. 특이점이 나오면 결국 미분방정식 자체가 성립하지 않게 된다는 얘기다.세계 ... ...
- [Photo] 전직 CFO의 눈에 비친 중국의 풍경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발로 누비며 환상적인 풍경을 소개할 것”이라고 밝혔다.[붉은 흙 : 다랑논의 경계 사이로 보이는 붉은 흙이 하얀 구름과 선명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논에서 자라는 다양한 색의 작물은 대지를 팔레트처럼 칠해놓은 것 같다. 윈난성의 흙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붉은 흙보다 ... ...
- [Hot Issue] 굿바이 M16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거뒀다. 가늠자와 가늠쇠로 조준하는 기계식 가늠쇠 대신에 조준점이 바로 보이는 도트사이트, 주야간 조준경, 적외선 조정장치 등 소총에 부착하는 액세서리는 최근 들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이제는 탄의 관통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총열의 길이를 줄여 휴대성과 무게를 줄이는 게 개발자들의 ...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전인 1954년에 이뤄졌다. 미국의 외과의사 조셉 머레이가 유전자가 똑같은 일란성 쌍둥이 사이의 신장 이식을 성공한 것이다. 1962년에는 면역억제제를 사용해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신장 이식 수술을 성공했다. 머레이는 그 공로로 1990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시간이 흘러, 이제는 간, 신장, 폐, ... ...
- [Fun] 한국형 아두이노, ‘오렌지보드’출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아두이노만 있으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손쉽게 만들 수 있어서, 컴퓨터 마니아들 사이에서 꽤 인기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 나온 대부분의 아두이노는 해외에서 만든 것이어서 국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한국형 아두이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래서 과학동아몰에서 준비했다. 오렌지색 ... ...
이전3013023033043053063073083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