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익숙하지만 낯선 이름들, V와 Hz 그리고 W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다른 곳에서도 전기 불꽃이 피어나는 현상을 보였다. 무언가가 텅 비어있는 두 회로
사이
의 공간을 넘어 전기 불꽃을 옮겼다는 의미다. ‘무언가’는 바로 전자기파다. 이보다 앞서 1865년 스코틀랜드의 물리학자 제임스 클러크 맥스 웰은 이론적으로 전자기파가 존재하며, 텅 빈 공간을 가로질러 ... ...
'기쁨'과 '슬픔'은 정말 뇌 안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미친다”며 “매우 기쁘거나 슬픈 감정을 느낄 때 호르몬이 많이 분비돼 신경세포
사이
의 시냅스 연결이 강화된다”고 설명했다. 시냅스 연결이 강할수록 기억이 잘 떠오른다.Q. 의사결정에 감정이 핵심 역할 할까영화에선 감정 캐릭터들이 모든 의사결정을 내린다. 하지만 실제는 조금 다르다.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어려운 빡빡한 염색체를 이질염색질(heterochromatin)이라고 부른다. 반대로 뉴클레오솜
사이
에 간격이 충분해 전사가 용이한 상태는 진정염색질(euchromatin)이라고 한다.유전체 수준에서 전사를 조절하려면 필요에 따라 두 가지 상태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중요한 것은 히스톤의 화학적 변형이다.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힘들다. 그러나 식물의 전형성능을 이용해 대량으로 난초를 배양하면 잎 하나로 몇 달
사이
에 수백 개의 새끼 난을 만들 수 있다. 전형성능은 식물 유전자 변형과 조직배양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전형성능 활용 연구 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졌고, 새롭게 전형성능을 유도했다고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연구했다. 5년 뒤부터는 고대의 DNA를 본격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이미 청동기와 신석기
사이
그리스인들의 유전적 변화를 연구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Q 한국의 미래 인류학자들에게A 역사와 고고학을 열심히 공부하길 바란다. 과학적인 질문을 첨단 기술로 분석하는 연구에도 이런 ... ...
피구왕 통키의 불꽃슛?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NASA의 관측위성인 에이스(ACE)와 테미스(THEMIS)를 이용했다. 에이스 위성은 태양과 지구
사이
에 있어 지구 자기권에 닿지 않은 태양풍을 측정할 수 있다. 테미스 위성은 지구 자기권 안쪽과 바깥쪽을 넘나들어 태양풍이 지구 자기권에 닿았을 때 어떻게 변하는지 측정할 수 있다. 측정 결과 켈빈 ... ...
2013년 쓰촨 성 홍수는 공기오염 탓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2013년 여름 중국 중부 쓰촨 성에는 50년 만의 최악의 홍수가 발생했다. 이 홍수의 원인이 뜻밖에도 대기오염이었다는 연구결과가 ‘지구물 ... 시내에서 만들어진 먼지가 도시 중앙에 모이는데, 이것들이 대기의 온도를 낮추고 밤
사이
수증기를 응결시켜 거대한 비구름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위한 측량작업이다. 최첨단 기술이 발전한 21세기에도 사람의 손길이 필요한 걸까. “
사이
드 스캔 소너(측면주사음파탐지기)나 다중빔음향측심기와 같이 음파를 이용해 지형을 그리는 탐사 기법도 있어요. 하지만 선박은 단 몇 cm의 오차만 나도 배의 모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사람이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5월 25일 제일모직 화재사건 기억하시죠? 남산
사이
트에서는 피크가 나타났는데, KIST
사이
트에서도 영향 있었나요?” “네 영향 나타났습니다!” 갑자기 초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한 이유를 파악하려면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중국발 미세먼지 때문인지, 인근의 화재사건 때문인지, 아니면 ...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아틀라스 V-551로켓에 실려 발사된 지 9년 6개월 만이다. 그간 뉴호라이즌호는 태양과 지구
사이
거리의 40배에 가까운 56억7000만km 거리를 날았다. ➊ 명왕성탐사선이 명왕성을 지나기 전 마지막으로 지구에 보내온, 명왕성을 가장 세밀하게 담은 사진이다. 7월 13일 촬영 당시 탐사선과 명왕성의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