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외 식물 자원 대전에 다 모였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자원이 풍부한 개발국과 기술이 풍부한 우리나라가 서로 협력해 식물에서 유용한
물질
을 발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 베트남 같은 다른 나라와 더욱 긴밀한 연계를 통해 식물 자원을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고 ... ...
세상의 시작과 끝이 궁금하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우주 전체의 얼개를 품고 있는, 한 변이 3억 광년 크기인 작은 씨앗 우주, 은하와 암흑
물질
, 우주 팽창과 암흑에너지까지 지금의 우주를 있게 한 요소들을 종횡무진 누빈다. 친숙한 좁은 장소에서 큰 우주로, 중력이 작은 천체에서 큰 블랙홀로, 빠른 공간에서 느린 세계로 시간과 공간이 줄었다 ... ...
단추 채우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여자가 말하는 생각의 나무라는 건 뇌신경세포야. 신경세포 사이에서 포자처럼 신경전달
물질
이 나와서 생각을 전달하지. 이 여자가 포자가 적은 사람이라고 하는 건……. 거기까지 생각이 미치자 화가 치밀었다. 이 여자가 지금 사람을 뭘로 보고…….“ADHD라는 거군요.”남자가 화를 억누르며 ... ...
물질
파로 시간·질량 잰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질량의 연관성을 직접적으로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며 “시간을 이용해
물질
의 질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기술을 이용해 1kg을 정의하는 근본적인 기준을 세우자고 제안하기도 했다(1kg의 기준에 대해서는 과학동아 2011년 3월호 ‘굿 바이! 킬로그램의 ... ...
가려움 알리는 세포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세포로 알려져 있었다. 매운 맛을 내는
물질
인 캡사이신과 열에는 고통신호를, 알레르기
물질
인 히스타민과 말라리아 약 치료제인 클로로퀸에는 가려움 신호를 뇌에 보낸다. 고통 신호를 보내는 기능은 확인됐지만 가려움 신호를 보내는지는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동 교수는 MrgA3 세포가 가려움 ... ...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1년에 빙하가 녹으며 방출되는 박테리아는 1021개 정도로 추정해 볼 수 있으며 핵산
물질
의 양으로는 20t의 박테리아 DNA가 현재 생태계로 투입되고 있다.겉으로 보기엔 어마어마한 양의 미생물이 빙하에서 쏟아져 나오지만 인류와 현재 생태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결정적인 사례는 아직 없다. 다만 ... ...
찜질한다고 몸이 건강해질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1mm입니다. 그러면 이제부터 의심이 가는 대목을 하나씩 짚어봅시다.먼저 고온으로 달군
물질
에서 원적외선이 나오는 건 사실입니다. 어떤 물체든 절대 온도 0도가 아닌 이상 적외선이 나오고 그중에는 원적외선도 있으니까요. 온열 작용에 대한 이야기도 맞습니다. 뜨거운 물에 몸을 담그거나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수학자들의 공동연구에서 쥐의 털 색깔을 결정하는 화학
물질
이 발견되었다. 이 화학
물질
에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을 적용해 털 색깔을 설명하는 데 성공했다.생명현상에 대한 수학적인 통찰과 접근이 확대된 오늘날, 수리생물학은 이제 현대수학의 한 분야로 여겨지게 되었다. 현대수학의 주요 ... ...
발바닥이 인체의 축소판이라고?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무엇보다 ‘기’는 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개념이거든요. 또 이런 자극이 호르몬 같은
물질
을 분비시켜 스트레스와 통증을 완화시켜 준다는 설명도 있습니다. 이건 그래도 과학적으로 그럴듯해 보입니다. 하지만 불행히도 아직 의학적으로 증거를 찾아내지 못했습니다.동양으로 오면 동양사상이 ... ...
성스러운 생태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공동체를 구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회적인 윤리나 도덕 규범도 필요가 없었다.그들의
물질
대사는 마찬가지로 개체마다 모두 제각각 달랐지만 대개 동물보다는 식물에 가까워서 다른 개체로부터 영양을 취하지 않고 자연 에너지를 그대로 받아들여 사용했다. 항성으로부터의 복사 에너지라든가 ... ...
이전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