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훼손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는 조사는 하지 말아야 한다.반구대 암각화의
표면
에 묻어 있는 왁스와 하얗게 페인트칠을 한 듯한 실리콘 찌꺼기들은 잘못된 조사결과로 생긴 것이다.그리고 천전리 암각화와 포항 칠포리 암각화에서 볼 수 있는 먹물 자국은 미숙한 아마추어들의 탁본으로 인한 것들이다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플라스틱도 전기 통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나타 촉매가 들어 있는 용액의 농도를 수천배 진하게 아세틸렌을 중합시켰더니 용액의
표면
에서 은색 광택을 내는 고분자 박막이 만들어진 것이다. 분석 결과 이 고분자 박막은 모두 트란스 구조를 갖는 폴리아세틸렌인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전도도가 크게 측정되지는 않았다.한편 미국 ... ...
천왕성을 찾아보자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2호로 많은 수수께끼가 풀렸다. 대기는 수소와 헬륨, 메탄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면
온도는 영하 2백10℃나 된다. 또 토성의 고리보다는 훨씬 어두운 11개의 고리가 발견됐다.대부분의 행성은 자전축이 공전궤도면에 대해 거의 수직인데 비해 천왕성의 자전축은 너무 기울어져 마치 한쪽으로 ... ...
사랑의 신 에로스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소행성 '1998SF36'에 도착,약 20km상공을 선회하며 탐사한 후 소행성
표면
에 착륙할 예정이다.
표면
물질의 샘플을 수집한 후 다시 지구로 향하는 탐사선으로부터 2007년 6월 지구에서 3만-4만km거리에서 샘플을 담은 캡슐만 분리해 지구대기로 진입시킬 계획이다 ... ...
망원경으로 진짜 우주를 관측하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실제 달의 모습을 처음 보게 되면 그 놀라움은 쉽게 가시지 않는다.갈릴레이는 달
표면
의 산이 드리우는 그림자의 길이로부터 산의 높이를 계산해내기도 했다. 어떤 산의 높이는 7천m에 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는데 그것은 당시 알려진 지구의 가장 높은 산보다 더 높았다. 지구보다 훨씬 더 작은 ... ...
라마와의 랑데부(Rendezvous with Rama)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우주 식민지 모델과 많이 닮아 있다. 수십 km 길이의 거대한 원통이 자전하면 안쪽
표면
엔 원심력에 의한 인공중력이 생기므로, 작품에 묘사된 것처럼 호수나 도시 건설이 가능하다. 또 원통 안쪽 공간의 중심부로 갈수록 인공중력이 약해지므로 공기의 부양력을 이용한 비행체는 아주 적은 ... ...
스티븐 호킹은 누구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또 공간적 부피는 있되 경계가 없다는 ‘무경계 우주’를 제안했다. 즉 우주는 마치 지구
표면
처럼 면적은 있지만 경계선이 없다는 것이다.이같은 업적으로 호킹은 74년 32세의 나이로 최연소 영국왕립학회 회원이 됐다. 79년에는 케임브리지대학의 최고명예인 루카시언 석좌교수에 임명돼 현재 그는 ... ...
토종 인삼과 가짜 구별하는 전자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통해 흘러 들어온 냄새분자와 결합한다. 전자코의 센서에 해당한다. 후각상피세포의
표면
에는 냄새분자를 감지하는 냄새수용체 단백질이 있다. 1991년 연구자들은 사람의 경우 약 1천가지의 수용체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번에 발표된 전자코의 센서가 11종이라는 사실을 볼 때 사람의 후각이 ... ...
갈릴레이 뛰어넘기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사실들을 손쉽게 경험해볼 수 있는 것이다. 10배 이상의 쌍안경이나 망원경을 준비해 달
표면
을 관찰하고 그려보자.특히 반달이 되기 전후에 달의 가장자리 부분을 살펴보면 동글동글한 크레이터의 모습이 아주 잘 드러난다.마치 곰보빵 같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크레이터가 많다.이외에도 여러 ... ...
① 20세기 새로운 세계관의 출발 양자가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있다. 하늘에 있는 별의 색이 붉은 빛일 경우에는
표면
온도가 낮고, 푸른 빛일 경우에는
표면
온도가 높은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런데 이러한 현상은 빛이 연속적인 흐름이라는 파동설 개념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했다.조명산업 발전이 미친 영향이상적인 열복사에 해당하는 흑체복사에 대한 ... ...
이전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