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15건 검색되었습니다.
올들어 벌써 17번, 北 미사일 도발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
과학동아
l
2017.10.01
공기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줄여 빠른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데다, 재진입 시
표면
이 골고루 깎이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삭마에 의해 비대칭적으로 재진입체가 깎이면 방향 제어에 실패할 수 있다. 반면 북한의 미사일 개발에 많은 영향을 준 러시아나 중국의 다탄두 미사일의 ... ...
물 위에 띄워두기만 하면 햇빛 받아 수소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인공광합성 수소 생산 장치는 물속에 완전히 담가야 작동했지만 이 장치는 저수지 등 물
표면
에 띄워두기만 하면 햇빛을 받아 수소 생산을 시작한다. 이승협 연구원은 “앞으로 수소를 모아두는 장치를 덧붙이면 다목적으로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넓은 태양전지에 물 분해 촉매전극을 ... ...
수증기로 신재생에너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GIB 제공 태양 복사에너지의 절반 정도가 지구
표면
에서 흡수된다. 이 에너지는 수면의 물을 증발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킨다. 이 수증기를 이용해 청정에너지를 생산하는 방법이 나왔다. 미국 컬럼비아대 물리학과 오구어 샤힌 교수팀은 수증기의 화학에너지를 변환시켜 물리적 일을 할 수 있는 ... ...
[영상]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7.09.24
날아오는 극한 환경을 체험하고 싶다면, 수성이 제격이고요. 두꺼운 대기 온실효과로
표면
온도가 섭씨 465도까지 올라가는 금성도 이색적입니다.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산과 가장 큰 협곡이 있는 화성이나, 수많은 얇은 고리들을 자랑하는 토성도 추천할 만하죠. 그런데 이런 행성들에 가기 ... ...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파란 꽃
과학동아
l
2017.09.23
- Cathie martin 제공 표피세포의 모양도 중요하다. 잎의 표피세포가 원뿔형이면 세포
표면
에서 빛을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꽃잎의 색이 진하고 어두워진다. 반면 편편한 형태의 표피세포는 빛을 많이 반사해 색이 옅어진다. 이는 온도와도 관련이 있다. 온도가 섭씨 30도 이상이면 표피세포는 납작한 ... ...
‘옴의 법칙’ 190년만에 한국인 과학자가 깼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방해를 이겨내고 더 잘 나아간다는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 옴의 법칙이다. 바일 금속의
표면
에도 불순물이 있다. 하지만 전자가 이동하는 양상은 보통 금속과 다르다. 바일 금속은 전압을 걸어주면 내부에 전자가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전자는 이 통로로 불순물에 부딪치지 않고 이동한다. ... ...
페루 사막의 우주 쇼 ‘2017년 최고의 야경 사진’
팝뉴스
l
2017.09.21
제공 우주의 대표들이 모두 모인 것처럼 보인다. 사막은 아름다운 지구의
표면
이다. 그 위를 사람이 걷는다. 밤하늘에는 은하가 흐린다. 게다가 달과 금성이 가까이 붙어 있다. 프랑스의 ‘밤을 찾는 사람들’이 발표한 ‘2017년 최고의 야경 사진’ 입상작이다. 자연의 거대함 그리고 압도적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가운데 전염성에 관련된 건 바이러스 껍질을 이루는 당단백질 두 종(Gn과 Gs)로 숙주 세포
표면
의 수용체를 인식해 세포 내로 침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병원성은 숙주의 선천면역계를 교란하는 비구조단백질(NS)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들 단백질의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나 ... ...
“뇌-컴퓨터 접속(BMI) 응용한 로봇의수, 5년 내 상용화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7.09.15
만들었다”고 말했다. 뇌의 신호를 읽기 위해 초기에 연구팀이 택한 방법은 뇌의
표면
에 콩알 크기의 미세한 탐침을 붙이는 것이었다. 원숭이와 사람의 두개골을 열고 선으로 신호를 읽어 컴퓨터로 분석한 뒤 로봇팔과 연결했다. 슈워츠 교수팀은 이후 로봇 팔에서 움직일 수 있는 관절 수를 늘려 ... ...
[수고했어! 카시니] 임무 끝내는 토성 탐사선의 20년 여정
동아사이언스
l
2017.09.15
달 ‘엔켈라두스’에 심해 생명체 존재 가능성” 토성의 달(위성) ‘엔켈라두스’
표면
을 덮고 있는 얼음층 틈 사이로 물기둥이 솟아오르는 모습의 상상도. 지구에서는 이런 현상이 90도 이상의 뜨거운 물이 솟아 오르는 심해 열수구에서 일어난다. 심해 열수구 인근에는 자기영양미생물을 비롯 ... ...
이전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