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뉴스
"
필자
"(으)로 총 3,081건 검색되었습니다.
박 대통령도 깬 엠바고, 과학이라고 못 깰 건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8.25
저자의 지적 중 일부는 잘 맞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엠바고에 걸린 과학'을 통해
필자
는 별다른 생각없이 들어와 있던 엠바고 시스템에 대한 의문을 품어 볼 수 있었다. 기자가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낯설게 하기' 효과를 본 셈이다 ... ...
아파트 공용전기료 '0'원에 도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22
약 50만 kWh이다. 이것을 전기 요금으로 환산하면 대략 6천 5백만 원 정도이다.
필자
의 아파트에서는 추가로 각 가정에서 ‘실감나는 3+1 절전 운동’을 전개했고, 한전과의 전기 계약 방식을 종합계약에서 단일계약으로 변경하였다. 그 결과로 2012년 한해 동안 공동전기료를 1억 8천 만원까지 절약할 수 ... ...
그 많은 우유는 누가 다 먹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8.12
것 같고 한 500밀리리터 정도는 마셔야 확실할 것 같다. 우유 먹고 배탈이 난 기억이 없는
필자
는 10% 확률의 변이 유전자를 갖고 있을지도 모르겠기에 한 번 시험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한다 ... ...
절전? 가정용 전기부터 절약하라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8.08
* 다음 회에는 연간 100만kWh의 전기를 절약해서 한해 동안 1억 8천만 원의 전기료를 아낀
필자
의 아파트 전기 절약 노하우가 연재될 예정이다. 심재철 작가는_충북 진천에서 태어나 서강대학교 화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별에 관심이 많아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의 창립 멤버로 교육 간사를 ... ...
박테리아로 박테리아 제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죽음은 정말 뜻밖이다. 그런데 적지 않은 사람들이 패혈증으로 사망하는 것 같다.
필자
주변을 봐도 지난 1~2년 사이 친척 한 분(호흡기 감염)과 지인의 아버님(수술 중 감염)이 패혈증으로 유명을 달리했다. 입원하고 불과 1주일여 만에 사망했기 때문에 가족들로서는 사고로 고인을 잃은 것이나 ... ...
알고 싶어요. 월주리듬이 정말 있는지…
동아사이언스
l
2013.07.30
그리고 “몇몇 사람들은 달의 차고 기욺에 꽤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필자
처럼 산문적인 성향의 인간들은 빼고 시인의 감수성을 지닌 사람들만 선별해 위의 실험을 다시 해본다면 훨씬 극적인 결과가 나올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 ...
열심히 연기한 배우에게 박수는 아깝지 않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14
욕망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에 천착해 온 과학사회학자가 쓴 “문명의 관객”은 이 같은
필자
의 상황을 정확히 진단해주고 있다. “우리가 ‘날씬하다’고 말하는 것의 기준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얼마나 변덕스러울 수 있는지…(중략)…생각이 어떻게 강화되고 확산되는지를 응시하고 또 ... ...
폐경기 생긴 건 젊은 여자만 좋아하는 남자들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3.07.08
것이다. 당시 정 선생이 무슨 맥락에서 이 얘기를 했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아무튼
필자
는 마치 영화의 한 장면으로 본 것처럼 깊은 인상을 받았다. ●단성 모형 vs 양성 모형 여성의 폐경은 여성 삶에 있어서 또 하나의 전환기다. - 동아일보 DB 제공 사람은 동물 가운데 독특한 특성을 여럿 ... ...
인류 뇌팽창은 전두엽이 주도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17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 ●소뇌의 재발견 바튼 교수는 논문 pdf 파일을 요청한
필자
의 이메일에 논문과 함께 한 번 읽어보라며 미국월간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홈페이지에 있는 미국 뉴욕주립대 스콧 배리 카우프만 교수의 블로그 글 주소를 알려줬다. 카우프만 교수는 ‘고릴라도 ... ...
화이트 푸드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6.03
있는 것 같다. 논문 10편 가운데 첫 번째는 개괄논문이고 나머지 9편이 각론이다.
필자
는 첫 논문과 두 번째 논문을 읽어봤는데 둘 다 꽤 재미있다. 이야기 전개상 미국 앨라배마대 약학 독성학과 스티븐 바네스 교수와 동료들이 쓴 두 번째 논문을 먼저 소개하는 게 좋겠다. ‘영양의 관점에서 ... ...
이전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