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달이 구형일때는 서로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한다. 그래서 달은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지구로부터 일정한 거리(약 38만3000km)만큼 떨어져서 일정한 주기(약 27.3일)로 돈다. 인공위성도 마찬가지다. 지구 중력에 끌려 들어가지 않을 만큼 빠르게 움직이면서도, 지구와 부딪치지 않을 만큼 고도가 ...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연구 인생은 많은 동료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줬다. 물리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의 가장 큰 업적은 블랙홀이 입자를 내놓는 ‘호킹 복사(Hawking radiation)’다. 이 내용은 1974년 ‘네이처’에 반 페이지 정도로 소개됐는데, 여파는 어마어마했다.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블랙홀로부터 나오는 빛이라니 ... ...
- Part 1. 예보, 못 믿겠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가운데 조그만 구멍에 시커먼 먼지들이 쌓여 있다. 미처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진 큰 입자다. 그보다 안쪽에는 여과지가 들어 있다. 처음에는 하얀색이지만 하루 종일 미세먼지를 모은 여과지는 회색을 띤다. 베타(β)선 쏴 미세먼지 농도 자동 측정측정소 옆에 있는 작은 건물로 자리를 옮겼다. ... ...
- [필즈상 미리보기] 게오르디 윌리엄슨, 치프리안 마놀레스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설명해줄 뿐 아니라 계산하기도 비교적 쉬워서 저차원 위상수학 난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며, “이미 여러 수학자가 이 불변량을 이용해 문제를 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마놀레스쿠 교수는 스테판 알렉이라는 좋은 선생님을 만나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활약하며 수학자의 ... ...
- [시사과학 뉴스] 전세계는 지금 비트코인 열풍!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벌이며 큰 화제가 되기도 했지요. 대체 가상화폐와 비트코인이 무엇이기에 이렇게 큰 관심을 받는 걸까요? 가상화폐? 암호화폐? 비트코인 논란! 비트코인은 디지털 정보량의 기본 단위인 ‘비트(bit)’와 동전을 뜻하는 ‘코인(coin)’이 합쳐진 말이에요. 게임머니와 비슷한 가상화폐의 일종이지만, ... ...
- Intro. 지구에 우주정거장이 떨어진다?! 2018 우주 빅뉴스 5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떨어질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2018년에는 세상에서 가장 큰 로켓인 팰컨 헤비가 발사되고, 태양과 화성 탐사도 이뤄질 예정입니다. 숨 가쁘게 돌아갈 새해 우주 소식을 하나하나 전해드리겠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지구에 우주정거장이 떨어진다? ... ...
- Part 2. 초대형 로켓을 쏘아 올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할 예정이에요. 만약 이 프로젝트가 성공한다면 팰컨 헤비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큰 로켓 발사로 기록될 예정이랍니다. 한국형 발사체 쏜다! 올해 10월에는 우리나라에서 만든 한국형 발사체의 시험 비행모델이 발사될 예정이에요. ‘한국형 발사체’는 600~800km의 지구 궤도로 위성을 쏘아 올릴 ... ...
- Part 5. 해와 달의 비밀을 밝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천체는 단연 태양과 달이죠. 태양과 달은 가장 잘 알려진 천체이면서도 아직까지 그 비밀을 완전히 밝혀내지 못한 미스테리 천체이기도 해요. 올해는 태양과 달을 탐사하는 탐사선이 모두 발사될 예정이랍니다. 태양에 가까이, 더 가까이~!올해 여름에는 태양의 비밀을 밝히는 ... ...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로봇그룹장은 “공연에서 노래한 에버의 얼굴에는 사람 얼굴에 있는 23개의 큰 근육을 모사한 23개의 모터가 들어 있다”며 “이를 이용해 열두 가지 표정을 지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에버가 만드는 12가지 표정은 기쁨, 슬픔, 놀람, 화남, 혐오, 두려움, 흥미, 좌절, 고통, 멍한 표정, 놀림, 윙크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확인할 수 있을까요? 단백질과 RNA가 특정한 색을 갖고 있는 것도 아니고, 눈에 띌 만큼 큰 것도 아닌데 말이죠. 과학자들이 고안한 방법 중 하나는 형광물질을 이용해 RNA를 감지하고 시각화 하는 방법입니다. 일명 ‘형광 제자리 부합법(FISH·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입니다. 형광 제자리 부합법의 .. ...
이전3033043053063073083093103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