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주얼리(Digital Jewelry)
과학동아
l
200512
걸어놓은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다. 지름 16mm 스테인리스로 만든 반지 속에는 트랜지스터
100
만개를 집적한 프로세서와 134kB램, 32kB롬이 함께 들어있다.반지를 낀 손가락을 문이나 컴퓨터에 달아놓은 리더기에 갖다 대면 문을 여닫거나 원하는 사이트에 손쉽게 접속 끝. 사용자는 자신이 가입한 ... ...
크리스마스에 받고 싶은 과학선물20
과학동아
l
200512
자동으로 보관, 관리할 수 있는 아이디어 상품. 회전식 원형 콘베이어를 사용해 최대
100
장까지 보관할 수 있다. 컴퓨터와 연결하면 검색엔진을 사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원하는디스크를 꺼낼 수 있다 ... ...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12
김채옥 회장은 “과학을 선택이 아닌 필수 과목으로 만들기 위해 한국물리학회 차원에서
100
만인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지금 한국의 물리학은 춤추고 싶다. 학생들의 열의를 장단 삼아, 물리학자들의 의지로 추임새를 넣어가며 신명나게 춤판을 벌이고 싶다. 다만 춤판에서도 기존의 ... ...
3. 수학은 돈 버는 여의봉
과학동아
l
200512
있다. 각 자산의 수익률은 각각 10%, 20%, 30%이고 분산으로 측정된 위험(리스크)은 10%이다.
100
만원이 있다고 할 때 어느 상품에 투자해야 최고의 수익을 올리고 손실을 줄일 수 있을까. 일단 드는 생각은 C에 모든 돈을 투자하는 것이다. 위험은 똑같고 수익률은 C가 가장 높다면 C에 투자하는 것이 제일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12
지난 7월 부산과학고에서 교명이 바뀐 부산 당감동의 한국과학영재학교. 한 해에
100
명이 넘는 KAIST 합격자를 낸 것도 처음 있는 일이다. 지난 2000년 영재교육진흥법이 극회를 통과한지 3년 만에 국내 유일의 과학영재학교로 설립된 한국과학영재학교는 이제 어엿한 과학도를 길러내며 주목받고 있다. ... ...
시리우스 커플의 빛나는 댄스
과학동아
l
200512
이 고유운동이 실제로 증명되고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믿게 된 것은 그로부터 약
100
년이 지난 뒤였다.핼리에게 잠시 관심의 대상이 됐던 이 별이 천문학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그로부터 얼마 뒤 베셀에 의해서였다. 짝꿍을 발견하다19세기 초 천재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베셀은 밤하늘의 ... ...
하늘을 향한 인류의 도전사
과학동아
l
200512
사진 역시 전시물을 그대로 옮긴 것이어서 사실감이 높다.눈 여겨볼 코너는 비행
100
주년 기념으로 제공하는 ‘라이트형제’. 윌버와 오빌에 대한 인물탐구부터 비행기가 발명되기까지의 상세한 이야기, 그리고 라이트 형제와 함께 한 항공발달사를 만날 수 있다. 특히 쌍방향 실험 코너에서는 ... ...
비정상 입자를 명품으로 키운다
과학동아
l
200511
방법으로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 반면 비정상 입성장을 이용해 입자를 키우면 비용을
100
분의 1이하로 줄일 수 있다. 미 공군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김 교수의 연구 결과를 주목했다. 각진 입자는 뭉쳐야 자란다김 교수가 찾아낸 해답은 입자의 모양이었다. 모양에 따라 입자가 성장하는 방식이 ... ...
천문학자 울린 샛별
과학동아
l
200511
정박하는 것조차 거부돼 버렸다. 그 바람에 관측을 전혀 할 수 없게 된 상황에 빠진 그는
100
년만의 기회를 그냥 날려버리고 말았다.그러나 그는 낙심하지 않았다. 8년 뒤인 1769년에도 금성일면통과가 예고돼 있었으니까. 다시 유럽으로 돌아갈 것을 심각하게 고민하던 르장티는 아예 인도에서 8년을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에서는 스페이스쉽원이 라는 민간우주선으로 고도
100
km까지 도달하며 우주여행 시대의 장을 열었다. 따라서 본격적인 상업 우주여행의 시대는 2010년경이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계적 추세를 감안하더라도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기술 수준으로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