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11
핵자(核子)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장(場)의 양자론의 한 형식 핵력은 전기력에 비해
100
배 정도나 강한 힘이기 때문에 중간자와 핵자의 상호작용에 대해 전자(電子)와 광자(光子)의 상호작용에 적용되는 계산방법, 즉 섭동(攝動)의 방법과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액체질소 온도 등의 저온에서 극도로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11
이번에는 어떤 기록을 세울 수 있을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원래 NASA는 비행기간이
100
일에 달하는 초대형 ‘울트라 벌룬’을 제작해 지난해 말 우리 검출장비를 띄우려고 했어요. 하지만 아쉽게도 아직 개발이 완료되지 않았어요. 울트라 벌룬만 있으면 더 많은 우주입자를 확보할 수 있을텐데… ... ...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과학동아
l
200511
수준의 정확도로밖에 알 수 없었다. 그러나 앞으로 광주파수 측정 정확도가
100
배 향상되면 물리학자들은 이 문제에 대해 좀더 확신 있게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글라우버 교수가 개척한 빛의 양자이론은 1963년 이래로 양자광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탄생시켰다. 국내에서도 최근 양자광학 전문가가 ... ...
황새야 행운을 물어다다오
과학동아
l
200511
하치고로2002년은 일본황새고향공원에 중요한 해였다. 사육 개체수가 처음으로
100
마리를 넘었고, 8월 5일 야생 황새 한 마리가 도요오카를 찾아왔기 때문이다. 처음 날아온 날을 따 ‘하치고로’라는 이름이 붙은 야생 황새는 그 후 도요오카를 떠나지 않고 현재까지 머물고 있다.하치고로가 정착해 ... ...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11
것이 가능해졌다. 마지막으로 뇌신경과학의 발전을 들 수 있다. 신경과학자들은 지난
100
년 동안의 연구를 통해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거듭해왔다. 뇌-기계 접속 기술은 기존의 뇌신경과학이 이룩해 놓은 업적에 근거한 응용기술인 것이다.뇌-기계 접속 기술의 미래는 어떨까? ... ...
외계행성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510
미국 제트추진연구소가 추진하고 있는 SIM은 두 대의 지름 30cm 우주망원경으로 구성돼
100
만분의 1초에 이르는 정밀 위치측정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SIM을 이용하면 지구형 외계행성을 찾아낼 수 있다. 세 번째로 NASA가 추진하고 있는 케플러 프로젝트가 있다. 케플러는 2007년 발사를 목표로 건설되고 ... ...
56년의 난제 다시 미궁에 빠지나?
과학동아
l
200510
디스플레이나 메모리, 광소자, 열감지 센서 등을 개발하는 데 사용돼
100
0억달러(약
100
조원)로 추정되는 시장을 선점하는 효과가 기대된다는 평가도 내놨다.김 박사와 ETRI 홍보팀 관계자는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7월 ‘뉴 저널 오브 피직스’(NJP)와 올 6월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APL)에 ... ...
삼각뿔 모양 영양 창고 간
과학동아
l
200510
때문에 제공자가 환자에게 자신의 간을 60%까지 줄 수 있다. 제공자의 간도 한두 달이면
100
%로 회복된다. 필자가 일하고 있는 아주대 병원의 경우 간이식 수술을 집도한 의사는 수술 후 2주 정도 충분히 휴식한 다음 다른 간이식 수술을 한다. 그만큼 간이식은 어렵고 힘든 수술이다 ... ...
조류독감 비상사태를 선포한다
과학동아
l
200510
때는 H1N1 바이러스가 유행했고, 2000만명 이상이 죽었다. 1957년 아시아독감의 H2N2는
100
만명, 1968년 홍콩독감의 H3N2는 70만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20세기 판데믹은 최소 11년, 최대 39년만에 돌아왔다”며 “지금은 마지막 판데믹부터 37년이 지났기 때문에 ... ...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과학동아
l
200510
피코초에서 매우 재미있는 현상을 일으킨다”고 강조했다.(유럽의 차세대 가속기는
100
펨토초를 찍을 계획이다). 포항가속기연구소의 유청종 박사도 “차세대 가속기는 살아 있는 단백질이 실제로 어떤 일을 하는지 영화처럼 보여줄 것”이라고 기대했다.과거 생명과학에서는 시작과 끝이 중요했다.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