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듣는 자명종 소리, 점심으로 먹은 된장찌개까지 쪼개고 쪼개서 미시세계로 좁혀 가면 모두 원자로 이뤄졌다. 양자역학은 이런 미시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미시세계에서는 전자가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을 갖고 있다. 이 책은 김상욱 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가 1년 간 ... ...
- [인터뷰] 장서현 “과학동아가 면접에 결정적인 도움 됐어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질문을 다 할 수는 없잖아요. 그래서 질문노트를 만들어서 수업 시간에 떠오른 생각들을 모두 노트에 적었어요.” 장 씨는 수업이 끝난 뒤 질문노트를 보면서 궁금했던 점을 따로 찾아보거나 그래도 모르겠으면 선생님께 질문해서 다시 정리했다. 특히 생명과학을 좋아했던 장 씨는 큰 노트에 ... ...
- 논리적 사고력, 어떻게 키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의 컴퓨터나 TV, (나)의 DNA가 있다. 세 개의 제시문 모두 매개변수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가)의 버스, 지하철, 집과 (나)의 부모, 자손 그리고 (다)의 x, y, t 사이에 어떤 공통점이 있고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다)의 x, y는 좌표에서 위치를 ... ...
- 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물리학자 나카야 우키치로가 정리한 ‘눈결정 도표’에 있는 가장 복잡한 눈결정까지 모두 3차원으로 재현한 것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지금까지 다양한 눈결정 모양을 정확히 재현한 모형은 거의 없었다”며, “눈결정 성장을 묘사하는 수학 모형은 기상학 및 항공기의 안전에 중요한 역할을 ... ...
- [매스미디어]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커다란 비행체 주변에는 대나무로 만든 여러 가지 모양의 비행체가 더 있습니다. 모두 미야자키가 1986년에 만들었고 우리나라에선 2004년에 개봉한 ‘천공의 성 라퓨타’의 오프닝에 잠깐 등장하는 것들입니다. 이 영화는 하늘에 떠 있는 전설 속의 보물섬인 라퓨타를 찾아가는 내용이에요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소녀가 추위를 막아줄 거야! 네버 얼론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속의 날씨가 이트랄리크가 아닌가 싶습니다. 여우와 누나가 마주치는 아이템과 장애물 모두 알래스카 원주민의 설화와 문화를 바탕으로 합니다. 게임의 목적이 알래스카 원주민을 알리는 것이기 때문이죠. 개발 과정에 참여한 원주민만 30명이 넘습니다. 그중 몇몇은 게임 속 부엉이가 영상으로 ... ...
- [과학뉴스] 공룡 피 빨아먹는 진드기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발견된 모기의 혈관에서 공룡의 DNA를 얻는다”며, “하지만 수천 만 년이 지나면 DNA가 모두 분해되기 때문에 이번에 발견한 진드기에서 공룡의 DNA를 추출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영혼도 질량이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건 플로지스톤의 질량이 음수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질량을 갖는 물질은 모두 지구가 잡아당기는 힘인 중력의 영향을 받는데, 음의 질량을 갖는 물질은 중력을 거스를 수 있다고 생각한 거예요. 이 가설을 바탕으로 일부 사람들은 영혼이 플로지스톤으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했어요. 하지만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설치해 24시간 지진을 감시한다. 또 미소한 지진부터 큰 지진까지 발생한 지진을 모두 온라인에 업데이트한다. 여기에 지진 발생 전후 지각의 움직임을 분석하기 위해 위성 영상까지 활용한다. 지진 발생 기록을 보면, 전에 발생했던 지역에서 또 다시 지진이 발생한다는 걸 명확히 알 수 있다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물론 인류 전체가 이를 올바로 인식하고 실천해 나가야 할 과제다. 지구촌 구성원 모두는 사회적, 환경적 공익을 추구할 책임을 갖고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그것이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소한의 윤리적 자세다. 과학동아 2017년 03월호 ‘떠내려가는 회의론 기후변화는 왜 사실인가’ ... ...
이전3043053063073083093103113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