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완성한 감성 게임, 더뮤지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피아노 건반을 세게 누를 때와 약하게 누를 때, 페달을 밟을 때와 밟지 않을 때 음색이 모두 다르다. 라이머스는 이런 다양성을 최대한 살리고 싶었다. 장애물은 스마트폰이 한 번에 낼 수 있는 소리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스마트폰은 음색을 할당하는 단위인 채널 여러 개에 소리를 나눠 담은 뒤 ... ...
- Part 2. 호모 사이보그, 신분증이 내 몸속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다른 셈이지요. 쓰리 스퀘어 마켓의 토드 웨스트비 최고경영자는 “미래엔 이 기술이 모두에게 필요해질 것”이라며 “우리는 미래 세대의 일부가 될 뿐”이라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사람이야? 로봇이야? 호모 사이보그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Part 2. ... ...
- [과학뉴스] 육지에서 바다로 간 도마뱀 화석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 화석은 1억 5500만 년 전의 것으로 바다 사우루스는 육상동물과 수상동물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어요. 수영을 위해 머리는 삼각형이고 꼬리가 길면서도 육상동물과 같이 사지가 길었지요. 이는 육상동물이 수상동물로도 진화했다는 증거랍니다 ... ...
- Part 2. 에 숨겨진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반 고흐는 그림에 노란색을 많이 사용했어요. 특히 는 꽃과 배경, 화병까지 모두 노란색 계열로 칠해져 있지요. 그런데 그림 속 노란색이 서서히 갈색으로 변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반 고흐는 ‘크롬 황색’이라는 노란 물감을 주로 사용했어요. 벨기에의 화학자 코엔 얀센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김 교수는 “폴더블폰을 만들기 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술은 삼성디스플레이에서 모두 개발한 게 아니라 11개 대학의 연구진과 협업한 결과”라며 대학과 기업의 협업을 강조했다. 일부는 대학에서 연구한 결과를 삼성디스플레이 연구진이 생산 공정에 적합하도록 발전시킨 것이다. 박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얼굴, 지문, 손 구조, 손등정맥, 홍채, 망막, 서명, 음성 등의 생체인식기술 중 2~3개를 모두 통과해야 인증이 완료되는 시스템이다. 2017년 7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제20회 ‘블랙햇(Black Hat) 콘퍼런스’에서 해커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가장 뚫기 힘든 보안 형태’에 대한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셈이다. 하지만 아스타코의 경우 사람이 조종해서 움직인다고 하더라도 관절 12개를 모두 제어하기가 쉽지 않다. 결국 작업 속도가 느려져 현장에서 효율은 떨어진다. 조 선임연구원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리오네트(줄로 조종하는 나무인형)에서 힌트를 얻어 새로운 로봇팔을 개발했다. ... ...
- [Culture] 혼밥족을 부탁해, 3대 간편식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저평가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며 “최근에는 신선도와 영양, 맛을 모두 살리면서 유통기한까지 확보하는 것을 기술 개발의 핵심으로 꼽는다”고 말했다. 식품은 열처리, 포장방법, 저장 환경 등 외부 요인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 식품마다 포장 기법이 달라야 하는 이유다. 가령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덕목으로 여겨진다. 사회성은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행동과 감정 모두를 가리킨다. 동물 사회성 분야 연구자인 저자는 인간의 사회성을 뇌과학과 연결 지어 설명한다. 뇌는 사람의 행동, 생각, 마음과 같은 것들을 조정하는 근원적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 사람 대체 무슨 ... ...
-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1호
- 1/2이 1/2인 이유?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올 확률이 1/2인건 모두가 알고 있을 거예요. 모두가 ‘예’라고 할 때 ‘아니오’라고 말하기 좋아하는 저는 왜 하필 1/2이라는 수가 앞면이 나올 가능성을 나타내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이유는 야코프 베르누이라는 수학자 때문이었죠. 확률의 뜻을 처음 ... ...
이전3083093103113123133143153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