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종이접기] 황금비가 숨어 있는 정오각형 만들기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만들어 보자.피타고라스가 사랑한 정오각형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피타고라스는 기하학
분야
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중 하나가 정다각형과 정다면체에 관한 내용이다. 사실 정다면체에 관한 내용은‘플라톤의 정다면체’로 더 잘 알려져 있지만,워낙 기록을 남기기 싫어한 피타고라스가 ... ...
평면도형의 성질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들어 설명해 줄게요.도형 또는 기하학이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분야
는‘건축
분야
’입니다. 프랑스를 대표하는건축물인 에펠탑을 자세히 살펴본 적 있나요? 높이가 무려 324m나 되는 거대 건축물인 에펠탑은 무수히 많은 선과 다각형으로 이뤄져 있어요.오른쪽 사진과 같이 부분별로 ... ...
[Sports Math] 규칙을 담은 춤, 댄스스포츠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방식으로 열리고 있는 댄스스포츠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배우, 가수, 운동선수 등 각
분야
의 유명한 인물들이 국가대표 댄스스포츠 선수와 팀을 이뤄 경연을 펼친다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닥치고 방정식이나 푸시지!(Shut up and calculate!)”이유는 묻지 말고 계산이나 하라는 이 비아냥은 놀랍게도 양자역학이 간혹 듣는 비판이다. 20세기 가장 성 ... 힘들다”며 “더 많은 전파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천체물리학, 핵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
에서 큰 활약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HUPO 회장의 모습. ➌ 마이클 스나이더 미국 스탠포드대 교수(왼쪽에서 두 번째)외에도 이
분야
에서 최고권위를 자랑하는 석학들이 염색체 기반 인간단백질기초사업의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단백질은 질병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에 치료제로 쓰일 수 있다. 세계 최초의 단백질 의약품은 ... ...
“우리 부부는 뇌가 2개나 있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성격이 서로를 보완하면서 최고의 파트너가 됐다. 그리고 함께 꿈을 꾸게 했다.“작은
분야
라도 정말 생명과학에 기여할 수 있는 것, 의미있는 발자취를 남길 수 있는 일을 하고 싶어요. 그건 백 박사가 더 가능성이 있겠지만(웃음).” “동일한 고민을 해요. 이 이가 ‘이제 중요한 질문을 찾아라’ ... ...
꿈을 현실로 만들어 보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맞게 공부하는 게 최우선이야. 자신의 생체리듬을 잘 읽는 사람이 영리한 거야.” 관심
분야
인 로봇공학과 특기인 프로그래밍을 접목하겠다는 구체적인 꿈을 가진 P학생. 꿈은 실현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할 게 너무 많지?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일에 로봇이 많이 ... ...
탐구해서 어디에 쓰는 거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성실히 수행한 연구활동입니다. 독자 여러분도 이렇게 연구활동을 한다면 결과를 여러
분야
에 응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작은 성취가 만드는 큰 울림 과학 동아리 학생들에게 먼저 보고서 쓰는 법과 과학의 탐구방법을 지도한 뒤 학교 습도 지도를 만들게 했습니다. 두 번째 과제부터는 학생들 ... ...
스스로 운전하는 똑똑한 자동차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움직이는 자동차를 만드는 작업은 쉽지 않다. 알아야 할 것도 많고 무엇보다 여러 전문
분야
의 연구원들과 협력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쉽지 않고 도전적이지만 주제 자체가 직관적이고 재미있기 때문인지 소속 연구원들은 각자의 성취도가 높고 끊임없는 아이디어 교환과 토론으로 어려운 도전을 ... ...
“잠재력 가득한 미래 발전소”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있다. “생명과학Ⅰ과 Ⅱ를 함께 배우고 싶어요. 이렇게 공부해서 더 세분화된 뇌과학
분야
에 대해 과제연구를 할 거에요.” 학생들은 과제연구로 ‘논문’을 쓰고, 교내 학회지에 낸다. 그 수준이 고등학생 이상이다. 마지막으로 ‘하나고는 ○○다’를 채워달라는 기자의 요구에 황정호 학생은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