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배트맨 VS 스파이더맨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스파이더맨의 장갑과 장화는 약 1000kg까지 지탱할 수 있다. 다만 도마뱀과 사람의 근육
크기
가 달라 보완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2의 스파이더맨이 등장하기까지 시간이 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찍는다‘결맞음 X선 회절 이미징’ 기술로 무엇을 볼 수 있을까. 현재 CELA에서는 나노
크기
의 결정을 비롯해 미토콘드리아 같은 세포 소기관을 관찰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작은 대상은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해서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결맞음 X선’이란 극한광을 썼을 때만 얻을 수 ... ...
스스로 빛나고 휘어지는 화면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색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초대형 휘는 디스플레이 나올까2017년까지 OLED를 이용해 60인치
크기
의 휘어지는 디스플레이가 개발될 예정이다. 별도 장치 없이 사무실 유리창을 활용해 회의 내용을 적는다거나 자동차 앞유리에 교통 정보를 내보내는 등 영화나 CF에서 흔히 봤던 장면을 일상에서 볼 수 ... ...
수원청개구리와 술래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몸집이 작아. 그리고 머리는 청개구리보다 좀 더 길고 뾰족하게 생겼지. 하지만
크기
나 외모만 보고서는 청개구리와 나를 구분하기 어려워. 수원청개구리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노랫소리란다. 내 울음소리는 깽깽~‘꽥꽥’하고 높고 크게 우는 청개구리와 달리 나는 ‘깽깽’하며 ... ...
팔방미인,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있다. 2차원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할 때는 분자를 이루고 있는 서로 다른 원자의
크기
를 고려하는 것이 어려웠다. 점을 선택해 그린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 평면적이기 때문에, 분자의 구조를 정확하게 알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3차원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그리면, 분자의 입체 모양을 ... ...
과학으로 본 다크나이트 라이즈 : 배트맨 다시 일어서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이용한 ‘관성 밀폐방식’이 있다. 임 연구원은 “영화에 나온 핵융합로는 챔버
크기
로 볼 때 관성밀폐방식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영화 속 핵융합로는 지름 1.5m 정도의 구 형태로,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관성 밀폐방식 발전을 연구하는 데 쓰는 챔버와 매우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관성 ... ...
중국이 이모작하면 한국엔 더 센 장마 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동아시아 지표면 온도(뜨겁다)와 북서태평양 해수면 온도(상대적으로 차갑다)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온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 동아시아에는 남풍, 혹은 남동풍이 광범위하게 분다. 이것이 바로 몬순이다.화베이평원에서 6월에 지표면 온도가 급격하게 높아지면 동아시아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에쿠스는 조랑말
크기
였으며 긴 목과 긴 다리, 긴 주둥이, 깊은 턱을 가졌다. 뇌의
크기
는 디노히푸스보다 컸으며 시멘트질화된 강하고 높은 이빨을 가졌다. 260만 년 전 플라이오세 후기동안 첫 번째 빙하시대가 도래하자 에쿠스를 제외하고 발굽 하나짜리 말들은 북미대륙에서 모두 멸종했다. ... ...
중간
크기
블랙홀 단서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그러다 어느 정도 커지면 가스 원반 중간에 틈을 만들어 놓는다. 이 틈을 찾으면 중간
크기
의 블랙홀을 찾을 수 있다. 연구팀은 “이 모델은 별 주변의 가스 원반에서 거대 행성이 생기는 모델을 크게 키워 놓은 것과 같다”고 밝혔다.이 연구 결과는 ‘왕립천문학회 월간 회보’ 8월호에 실렸다 ... ...
태양, 세렝게티의 사자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내부 온도를 높이는 데 사용돼 중력에 반대되는 압력으로 작용한다. 이 경우 태양이
크기
를 약 3000만 년(켈빈-헬름홀츠 시간) 정도는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정작 태양의 모습과 성질을 유지하는 주역은 내부에서 매 순간 일어나는 핵융합반응이다.빛이 태양 사우나를 빠져나오려면태양 전체 질량의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