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으로 보는 뇌의 목소리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코헨 박사는 이 센서를 부착한 뇌자도(MEG)라는 장치를 이용해서 지구 자기장의 10억분의 1 크기의 자기장을 측정하는데 성공했고, 자신의 뇌에서 측정한 뇌자도 신호로 ‘사이언스’의 표지를 장식했다. 최근에는 뇌파, 뇌자도와 fMRI를 결합한 ‘멀티모달 신경영상’이라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 ...
- 아이 러브 ♥ 고기과학동아 l2012년 07호
- 확보한 고지방 고단백 식품은 몸집도 키웠습니다. 초기 인류는 400만~500만 년 전 두뇌 크기가 현생 침팬지와 비슷한 400~500cc 정도였습니다. 200만~300만 년 뒤 호모 하빌리스 때는 750cc로 커졌습니다. 하지만 몸집은 여전히 100cm 전후로 작았습니다. 200만 년 전에는 호모 에렉투스가 등장했습니다. 호모 ... ...
-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실제로는 지름 14cm의 구가 약 4000km 간격으로 놓여 있는 텅 빈 공간인 것이다. 주먹 두 개 크기인 태양이 우리나라에 있고 가장 가까운 별이 인도 서부에 하나 있는 정도다.그러므로 어떤 두 은하가 서로 충돌한다고 해도 별이 서로 충돌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물론 현재 은하의 중심을 공전하고 있는 ... ...
- 최종 병기 애니멀과학동아 l2012년 07호
- 크고 무거워도 빠른 방향전환이 가능했다. 그러나 물고기에게 같은 장치를 달려면 크기와 무게를 줄여야 한다. 연구팀은 작은 안경 형태로 장치를 설계할 계획이다. 또 원격유도 장치를 방수가 되게 설계해야 한다. 동시에 원격유도장치의 자가 충전 시스템 개발도 필요하다.이필승 교수는 “현재 ... ...
- 스파이더맨과 애니멀 어벤져스과학동아 l2012년 07호
- 다리에 있는 감각모의 능력을 받았거든. 상당히 떨어진 거리에 있는 물체의 방향과 크기는 물론이고 곤충의 날개짓까지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예민하지. 주변에 적이 다가온다? 밤이고 낮이고 상관없이 어벤져스의 어떤 멤버보다도 빨리 알아차리고 공격태세를 갖출 수 있다~, 이거지. 어벤져스 ...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에너지는 1000배밖에 더 필요하지 않다.이유는 상대적인 혈관 크기. 몸집이 커도 모세혈관 크기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몸 속 구석구석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효율이 높아진다. 중력이 강해지면 몸집을 키우는 데 제한이 많으므로 이런 법칙도 무용지물이다. 현재의 지구에 비해 효율성이 높은 ...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어디일지 자못 궁금해진다.[딱정벌레 날개 원리가 들어있는 테이프.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한 섬모가 촘촘히 박혀 있다. 분자 사이에 반데르발스힘이 작용해 옆으로 잡아당길 때 잘 안떨어진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베껴야 사는 과학! 생체모방의 세계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 ...
- 특명! 우리나라 인어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움직여 사람처럼 목을 구부릴 수도 있답니다. 고래연구소 김두남 박사님은 상괭이의 크기가 작아 수심이 얕은 바다 가까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관찰하기 쉬워 ‘인어’라는 별명을 붙였을 거라고 설명했어요. 형, 드디어 인어를 찾았어! 헤헤~. 꼬마 상괭이 ‘누리’와 ‘마루’가 바로 ... ...
- 어벤져스 대작전 대칭 몬스터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2년 07호
- 반사, 미끄럼반사가 있다.따라서 대칭이란 어떤 대상을 변환했을 때 처음과 같은 모양과 크기, 같은 위치에 놓이는 것을 말한다. 특별히 이런 변환을 모아 놓은 것을 ‘대칭 집합’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도형은 회전이동 또는 반사를 대칭으로 갖는다. 하지만 띠무늬나 테셀레이션 등 여러 도형이 ... ...
- 별별 수학 올림픽, 최고의 수학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2년 07호
- 고리를 만들어서 그 고리의 크기를 점점 작게 만들 경우, 한 점으로 줄어들 수 있는 크기가 유한한 도형은 구’라고 추측했어요. 이것이 참이라면 우주의 모양을 예측할 수 있어 많은 수학자들이 이 문제에 매달렸지만 실패했지요.그러다가 2003년 제가 인터넷에 간단한 논문을 올렸는데, 수학자들이 ... ...
이전3073083093103113123133143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