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델"(으)로 총 1,8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동아리계의 팔방미인!수학동아 l201306
- ‘백합제’와 외부 대회에 출전할 UCC 작품을 만든다. 특히 겨울에는 ‘영어교육모델 창의경영학교’인 경화여고를 대표해 한 해를 마무리하는 영문학술지 출간을 준비한다.이 모든 활동은 토론 수업과 함께 병행한다. 토론 수업은 대부분 영어로 PPT 자료를 만들어 준비하는데, 모둠별로 돌아가면서 ... ...
- [화보] 어린왕자가 사랑한 사막의 비밀수학동아 l201306
- 따르는지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선인장의 나선 모양을 수학 모델로 만들었다. 수학 모델에 따라 컴퓨터로 선인장이 자라는 방향과 힘을 계산했더니, 실제 선인장의 나선 모양과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런 나선 모양이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수학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상태라는 사실도 ... ...
- [W5 코드 브레이커] 에니그마와 봄브, 세기의 암호 대결수학동아 l201305
- 기계인 ‘봄브’를 개발했답니다. 봄브의 탄생 당시 블레츨리 파크에는 에니그마 초기 모델의 암호체계를 해독해냈던 폴란드 수학자 마리안 아담 레예프스키도 연구를 계속하고 있었다. 레예프스키는 튜링에게 에니그마 기계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알려 주었고, 튜링은 이를 바탕으로 암호해독기 ...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과학동아 l201305
- 이 입자가 없다면, 대신 다른 종류의 암흑물질, 즉 차가운 암흑물질을 가정하는 기존 우주모델이 더욱 힘을 얻게 된다(과학뉴스 17쪽 참고).정말 놀라운 것은 다음에 온다그럼 플랑크는 아무 것도 바꾸지 못한 걸까. 아니다. 우주 초기 메아리가 그린 물질의 나이테를 7개까지 측정했다. 기존 우주론은 ... ...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과학동아 l201305
- 이런 연구를 하는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는 예측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다. 예측모델이 정교해지면 영화 ‘가타카(1997)’처럼 어릴 적 한 번만 유전자 검사를 해도 키를 대략 예상하는 것은 물론 미래에 걸릴 가능성이 높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둘째는 유전자 치료나 개선을 위해서다. 만약 키와 ... ...
- [매스미디어] 토니 스타크는 수학 천재! 아이언맨 3수학동아 l201305
-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인공신경망이란, 인간의 뇌 구조를 모방해 프로그램화 한 수학 모델이다. 실제 뇌는 수많은 뉴런들이 그물처럼 연결돼 있고, 뉴런이 상호 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 인공신경망 역시 그물처럼 연결된 프로그램 노드(인공 뉴런)들이 상호 작용을 하며 문제를 ... ...
- PART 2. 스크린 속 파도는 왜 진짜 파도보다 리얼할까과학동아 l201305
- 예보가 100% 맞지 않는 것과 같다. 그나마 가장 유사하게 유체의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는 모델은 세계 7대 수학 난제 중 하나라는 ‘나비어-스토크 방정식’이다. 실제 식은 아래와 같다. 이 식에 영상을 만들고 싶은 유체의 부피와 밀도, 압력 등의 수치를 넣으면 유체가 움직이는 방향이나 속도를 ...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수학동아 l201305
- 설계 돼 있다는 생각은 예전부터 이어져왔다. 그런데 최근 동식물의 생존 전략이나 행동 모델을 게임이론 등으로 해석해 새롭게 연구하는 수학자들이 늘어나고 있다.한 예로, 수학자들은 이러한 수리생태학 연구 중 하나로 날아다니는 새가 어떤 방법으로 나무에 숨겨진 먹이를 찾아내는지를 ...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304
-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는 ‘이상한 끌개’를 발견한다. 대기의 변화를 수학적으로 모델링 하기 위해 만든 방정식을 풀어 위상공간에 그리자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점의 궤적이 어떤 한 점이나 기하학적 형태로 나타나지 않고, 일정 범위 안에서 나비 모양을 유지한 것이다. 이를 ‘로렌츠 ... ...
- [체험] 차세대 통신망 연구실 미래 통신은 수학으로 통한다!수학동아 l201304
- 기술에서 데이터가 최대한 기다리지 않고 흐를 수 있도록 모델을 만드는 데 쓰인다. 큐잉 모델을 잘 만들면 사용자가 기다리는 시간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의 손실을 막을 수 있다. 즉 서비스 품질이 좋아진다는 얘기다.카이스트 수학과 황강욱 교수님은 현재 와이 파이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